[이투뉴스]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원전업계가 들끓고 있다. 노조, 학계, 각 대학원전학과 학생, 시공‧부품업체 임직원까지 다양한 부류에서 하나의 목소리를 낸다. 새삼 원전업계 종사자의 두터운 층이 놀랍기만 하다.

반면 탈원전‧신재생에너지 확대를 둘러싼 논란을 두고 상대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업계의 소극적인 대응은 아쉽다. 시민단체의 태도와 비교할 때 학계나 업계종사자는 조그만 목소리를 낼 뿐이다.

다른 에너지산업 대비 작은 규모나 인적 네트워크가 한계일 수 있다. 하지만 외부에서 세계 흐름과 국가 정책에 단순히 편승한 모습으로 비쳐지는 것은 문제다. 적어도 ‘누워서 떡먹기’라는 소리를 듣지는 말아야 한다. ‘독립’과 ‘자주독립’이 같을 순 없다.

에너지업계는 처음으로 주류와 비주류가 교체되는 전환점을 맞고 있다. 과도한 전기요금 부과나 계통안정 등을 들먹이나 현 시점에서 본질은 주도권 다툼이다. 단합이나 조직력이 필요하고, 적극적인 의지표명이 요구된다.

특히 시민단체 출신 인사가 적극 참여하는 현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업계‧학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시민과 소통하는 능력은 뛰어나나, 에너지업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나 현장‧실무‧정책경험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세밀한 논리나 기술‧시장운영 노하우 등 전체 에너지산업에 대한 상당한 지적 뒷받침이 양껏 제공돼야 한다.

최근 신 고리 5,6호기 공사 일시중단을 의결한 한수원 이사회 결정 등을 오히려 역풍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과거 중요한 정책을 결정할 때마다 ‘절차의 공정성’을 요구한 건 야권이었던 현 정부와 시민단체, 신재생 등 비주류 에너지업계였다. 세간에선 누구도 공사 일시중단을 한수원 본인의 뜻이라 보지 않는다. 진퇴에도 전략과 침착함이 필요하다.    

신재생에너지업계도 전체 에너지산업을 바탕으로 빅 피쳐(Big Pictuer)를 그려내야 한다. 아직 역량이 없다면 적어도 외연을 키우는 전략을 우선 짜야한다. 적어도 이런 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는 많은 장점이 있다.

태양광‧풍력‧소수력‧바이오‧수소 및 연료전지 등 다양한 에너지원뿐 아니라 융‧복합이나 지능형전력망,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외부 인사나 산업을 끌어들일 수 있는 충분한 통로를 보유했다.

경계가 모호하기 때문에 오히려 테두리를 칠 필요가 없다. 새로운 기회를 찾는 다양한 부류를 수용, 질적‧물적 성장을 빠르게 꾀할 수 있다.

무엇보다 환경 측면으로 재생에너지는 타 에너지 대비 우월한 지위를 보유했다. 원전, 석탄, 가스, 열병합 등 에너지원이 재생에너지의 ‘시기상조’를 거론할 수 있으나 ‘배제’를 주장할 순 없다.

스스로 ‘가교역할’을 담당하고자 물밑에서 서로 치열하게 싸울 뿐이다. 다만 손에 쥔 ‘명분’으로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음을 자각해야 한다.

‘국정운영 5개년 계획’ 등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여러 번 표명했다.  심지어 장관 후보로 신재생에너지 전문가(?)를 지명했다. 호기(好機)는 호기다. 하지만 아직 호시절은 아니다.

최덕환 기자 hwan0324@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