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환경 오염관리 R&D사업 확정…2024년까지 1158억원 투자
지하철, 정화 곤란부지, 유독물 저장시설 등 지하 환경문제 해결

[이투뉴스] 지하철 등 지하 공간, 정화가 곤란한 지하 부지, 오염물질 누출 시 환경영향이 큰 유독물 저장시설 등으로 인한 땅속 오염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환경기술 개발이 내년부터 본격 진행된다.

환경부(장관 김은경)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남광희)은 내년부터 2024년까지 7년간 모두 1158억원(국고 1011억원, 민자 147억원)을 투자하는 ‘지중환경 오염·위해 관리 기술개발사업’이 11일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땅속 10m 내외의 저심도에서 발생한 오염토양 농도와 범위를 조사·평가하는 기술과 오염된 토양을 굴착한 후 지상에서 정화하는 기술 등을 중점 개발해 왔다. 하지만 최근 땅속 깊은 곳까지 지하이용 공간이 확대되고, 깊은 곳에 매설되는 시설물이 늘어나는 등 기존 정화기술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 지하 환경오염 및 방지-정화기술 대상

따라서 이번 지하 환경오염 R&D사업은 땅속 오염을 사전 진단·예방하는 기술과 오염을 신속하게 차단·정화하는 고효율 기술을 중점 개발한다. 구체적으로 지하 수십미터의 지하철 등 환경적으로 취약한 지하이용 공간 피해 예방기술과 지하 이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류, 라돈 등 오염물질의 이동과 파악을 위한 감시 및 예측기술 등이다.

아울러 지중시설로부터의 오염물질 누출을 조기에 발견·차단·정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도 나선다. 현재 주유소 유류저장탱크 누출을 감시하는 기술은 적용하고 있으나, 환경 피해가 큰 유독물 저장시설, 대형 수송관 등의 고심도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은 미흡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오염감지 성능이 우수한 측정센서를 장착한 고성능 측정장비와 함께 정보통신기술과 연계해 신속한 경보가 가능한 ‘상시 누출감시 시스템 기술'을 개발하고, 대상 시설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상부에 도로나 건물 등 지장물이 존재하는 부지 등 정화가 곤란한 부지의 경우 부지 특성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한다. 이런 부지는 오염토양을 굴착해 정화하거나 오염지하수를 양수하는 방법 등 기존 정화기술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따라서 지중에서 직접 정화하는 기술을 비롯해 오염지하수 이동 흐름을 차단하는 기술, 지하수 중 오염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 등 굴착 또는 양수를 하지 않고도 고효율·저비용으로 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현장기술을 개발하고 고도화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땅속 환경오염을 정화하는 기술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지중 환경 부지탐사 등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신산업 창출과 확보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국, 동남아시아 등 해외 환경시장 진출도 기대하고 있다.

김지연 환경부 토양지하수과장은 “땅속 오염의 사전예방에서부터 정화·검증·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선진 환경기술을 개발해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지중 환경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