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폐기물 관리'편

원자력발전소의 연료로 사용되는 우라늄은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와 달리 아주 적은 량으로 다량의 전기를 생산해 낸다.

 

그러나 한번 원자로에 장전돼 1~5년 (경수로 3~5년, 중소로 1년)간 연소된 연료는 장기간 냉각 후 영구처분되거나, 미 연소된 우라늄을 재처리 후 폐기물로 남겨진다. 일상생활과 산업 활동에서 폐기물이 발생하듯 원자력 발전소, 병원 및 연구소에서 방사성 폐기물이 남는 것이다.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는 일반인들조차 방사능을 띄고 있는 이들 물질에 대해 결코 호의적이지 않다. 방사성 폐기물이 환경에 악영향을 미쳐 일반인의 인체에 위해한 것이란 불안심리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건설부지가 결정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무려 19년이다. 그만큼 핵발전에 대한 일반인의 우려가 높다는 걸 뜻한다. 이런 연유의 이면에는 원자력인 군사적 목적의 연구 결과물이란 태생적 이유와 반핵운동으로 확산된 부정적 인식이 한 몫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수력원자력측은 “발생원과 발생량이 극히 적고 공학적 조치를 통해 인간과 환경에 전혀 위해가 없도록 관리 할 수 있음에도 방사성 폐기물이 혐오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안타까워한다.


현재 국내 원자력산업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폐기물은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사용 후 연료를 제외하고 모두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다. 이들 폐기물은 발전소에서 사용한 옷, 장갑 등이 대부분이며 경주에 방폐장이 건설되기 전까지 전량 원전부지내 저장고에 보관될 예정이다.

 

가장 강한 방사성을 띈 사용후 연료는 저장관리도 까다롭게 진행된다. 사용후 연료는 핵분열생성물 때문에 원자로에서 꺼내진 이후에도 오랜 기간 방사선과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발전소에는 붕산수가 가득 찬 수조가 있는데 이곳에 사용 후 연료가 열이 제거될 때까지 보관된다.


우리나라는 사용 후 연료 중간저장시설의 건설이 늦어져 각 발전소에서 사용 후 연료 저장용량을 확장하기 위한 조밀저장대 교체 공사가 지금도 진행 중에 있다. 이들 저장시설은 대부분 2008년경 포화될 것으로 예상돼 한수원은 중간저장시설이 건설될 2016년까지 부지내 저장능력을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방사성폐기물이 전량 영구 매립되는 것만은 아니다. 사용 후 연료의 경우 쓰고 남은 우라늄과 플루토늄과 같은 물질이 포함돼 있어 이 같은 핵분열성 물질을 추출해 다시 연료로 제작해 원자로에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용한 물질을 추출하는 과정을 재처리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국내외 기술개발 추이 등을 감안해 향후 이에 대한 정책을 확정한다는 유보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편 사용후 연료는 열이 식을 때까지 원전 부지내 또는 중간저장시설에 충분히 보관하다가 지하에 최종 처분하는 개념이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다. 미국은 사용 후 연료를 직접 영구 처분할 목적으로 2010년까지 지하 수백 미터 아래 수평터널을 파서 생태계와 격리시킨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또 프랑스, 독일, 일본, 영국 등과 같은 국가는 재처리하고 남은 고준위 고화체를 2040년까지 영구 처분할 예정에 있다. 사용 후 연료의 누적량이 처분장을 운영하기에 적정한 경제적 규모에 있지 않다고 보고 현재까지 어떤 국가도 영구처분장을 운영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2005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중저준위 고체폐기물은 모두 6만 6888드럼에 달한다. 지난해 발생한 폐기물만 2676드럼, 제 아무리 원전 부산물이 작다고 하지만 이들 폐기물은 당장 완벽한 밀폐공간에 안전하게 관리하는 일이 최선이다. 그런 의미에서 방폐장의 안전관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라지 않다. 

 

최근 값싸고 효율적인 에너지로 원자력 발전이 선호되고 있지만, 영구히 남겨지는 방사성폐기물 또한 우리가 후세에 떠넘겨야 할 어쩔 수 없는 원자력의 부산물이다.

 

<16일은 원자력 특집 기획의 마지막 순서로 '원전의 안전대책과 미래'가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