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오랫동안 대결과 반목이 계속되었던 남과 북이 4월과 5월 판문점에서 열린 정상회담을 계기로 조금씩 화해무드로 변화하고 있다. 6월에는 북미정상회담까지 예고돼 있다는 측면에서 한반도 평화정착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간이 흐르고 있다. 많은 국민들이 좋은 결과가 도출되기를 고대하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여러 변수가 등장하면서 아슬아슬한 외줄타기를 하는 모양새다.

남북이 그간의 적대와 대결의 나쁜 기억을 떨치고, 곧바로 화해와 협력시대로 나갈 것인지는 여전히 분명치 않다. 진전이 이뤄지더라도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분석도 부인하기 어렵다. 하지만 한반도 평화정착이 작게는 우리나라 5천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더 크게는 동북아 안보와 번영에도 직결된다는 점에서 응원을 보낸다.

통계청의 최신 자료를 보면 1차에너지 공급량은 2016년 기준으로 우리가 북한보다 30배 정도 많다. 남한 인구(5125만명)가 북한(2537만명)의 2배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북한이 겪는 에너지난은 자명하다. 특히 밤에 찍은 위성사진으로도 알 수 있듯이 전력부족은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남북 간 교류가 본격화되면 에너지 분야에 대한 지원과 협력방안 모색이 최우선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철도와 도로를 포함한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고선 제대로 된 교류와 협력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몇몇 발전사 등 공기업을 중심으로 대북 에너지협력방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남북 에너지협력방안은 이전에도 논의된 적이 있다. 하지만 개성공단을 제외하고는 대개가 구체적이지 않을뿐더러 피상적인 접근이 많았다. 따라서 이제부터라도 북한의 에너지 사용실태 파악을 시작으로 어떠한 형태의 협력과 지원이 실효적인 방안인지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연구가 요구된다. 단기적으로 에너지원별 공급 우선순위와 함께 장기적으로는 통일 이후의 한반도 전체의 에너지전략에 대한 대비책까지 세우면 더할 나위 없다.

설레발이라고, 또 너무 성급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준비하지 않으면 정작 중요한 시기를 놓칠 수 있다는 점을 잊어선 안된다. 전문가들은 에너지협력은 최초 일부 무상지원이 불가피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철저한 거래나 교역 형태로 전개해 퍼주기 논란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북한의 인적·물적 자원이다. 북한의 지하자원은 이미 중국이 적잖게 차지(개발권 등)할 정도로 가치가 상당하다는 분석이 많다. 따라서 우리의 기술과 자본을 북한의 자원과 결합할 경우 많은 시너지 효과 등 절호의 재도약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진단이다. 준비된 자만이 찬스가 오면 이를 움켜잡을 수 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