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환경연합이 2일 서울시가 발표한 '친환경에너지 선언'에 대해 환영의사와 함께 추가적인 과제를 제안했다.
환경연합은 3일 "서울시가 중앙정부보다 먼저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한 것은 다른 지자체로의 파급효과까지 고려할 때 크게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지지 의사를 밝혔다.
서울시는 2020년까지 신ㆍ재생에너지 이용률을 10%로 높이는 한편 서울시의 에너지 이용률을 2020년까지 15%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도 1990년 기준으로 25% 줄이겠다는 내용의 '서울 친환경 에너지 선언'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환경연합은 몇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향후 과제에 대해서도 적극 제안했다.
환경연합은 "서울의 전력자립률은 2.45%(2003년)로서 연간 총 전력소비는 2001년 3만3297GWh에서 2004년 3만8214GWh로 13.2% 증가했다"며 "서울시의 전력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전력이 타 지역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전력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량은 서울의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제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서울의 온실가스량이 감축된다 하더라도 우리나라 총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축된 것이 아니므로, 향후 전력자립률을 높이고 저탄소사회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서울환경연합은 지난해 10월 서울시가 CO2 감축 목표치 없이 관련 사업을 진행하는 것에 문제를 제기한 바 있으며, 또한 자자체 차원에서 기후변화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지난 2월 '서울CO2위원회'를 창립해 주목을 받았다.
환경연합은 "앞으로 서울시의 기후변화 대응 사업들이 어떻게, 얼마만큼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줄 수 있는지, 이들 효과들을 주민들의 생활과 연계하여 어떻게 설명하고 이를 통해 주민들의 참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지 지켜볼 것"이라며 "서울환경연합도 '서울 CO2 다이어트'캠페인, '자전거 타는 서울'의 활성화를 위한 시민 참여 프로그램 등을 통해 시민들이 서울의 CO2 감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