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전력공사가 폐변압기에서 검출되고 있는 폴리염화비페닐 잔류 여부를 미확인 상태로 보관해 재고를 쌓아놓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 또 다시 한전의 환경오염 관리상태가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한전 서울사업본부 물류센터가 폴리염화비페닐 잔류 여부 검사를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 폐변압기를 가득 보관하고 있다가 적발된 것이다.

물류센터 건물 구석구석에는 얼핏 보기에도 뚜껑이 녹슨 폐변압기가 수천 개 이상 쌓여 있었다. 일부 폐변압기는 맨 흙바닥에 야적돼 있었고, 변압기 옆엔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었다. 이는 미관상의 문제를 넘어 명백한 법 위반이다.  

폴리염화비페닐은 다이옥신과 함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관리에 관한 스톡홀름협약’에서 규제하는 대표적 유해 오염물질이다. 암과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는 독성을 가졌을 뿐 아니라 분해가 느려 생태계 파괴물질로 지목받고 있다. 

또 바람과 해류를 따라 수천㎞를 이동할 수도 있는 특징을 지녔다. 이 때문에 국제적으로도 환경오염의 대표적 주범으로 강력한 규제를 받는다.

특히 2005년 폐변압기에서 폴리염화비페닐 물질이 검출되면서 폐변압기 수거 및 재사용 등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심각성을 알리기 시작했다.

한전에 따르면 전봇대에서 철거된 주상변압기들은 지역구 야적장으로 수거, 상태를 점검한 후 수리해 다시 내보낸다.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폐변압기는 폐기한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폐변압기는 현재까지 재활용과 관련한 명확한 규정이 없어 관례적 혹은 임의판단으로 처분한다.

 

기후변화 등 환경의 중요성이 날이 갈수록 엄청난 속도로 부각되고, 우리의 생명과 생활을 옥죄고 있는 상황에서 한전은 "나와는 관계없다"는 태도다. 오염예방에 앞장서야 할 국가 공기업이 오히려 치외법권 지대로 남아 있는 형국이다.

물론 한전이 사회 봉사활동에 치중하고 있는 부분도 많다.

올해 하반기 공채부터 선발 인원의 10∼20%를 저소득 소외계층에서 선발한다고 최근 밝혔다. 또 올 초 대가족 전기요금 할인 혜택을 도입해 사회복지에도 힘을 쏟고 있다. 그

 

러나 이같이 공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임무를 착실히 수행하는 뒷면에는 사회발전에 역행하는 모습도 감추고 있었다. 특히 사람이 사는 공간에 위해를 가하는 일을 몰래 감추고, 벌여서는 공기업의 태도가 아니다.

아무쪼록 폐변압기 보관상 심각성이 여러 차례 거론이 돼온 만큼 보다 확실하게 이를 처리하는 방향을 골똘히 정부와 한전이 머리를 맞대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