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예비후보들이 지구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한 '환경 공약'을 걸고 나섰다.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상원의원은 전략적 에너지펀드를 조성, 석유회사가 재생에너지에 투자할 것을 유도해  2020년까지 사용전력의 2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고 밝혔다.

배럭 오바마 민주당 상원의원은 아이오와 주와 캘리포니아 주 등에서 추진 중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인 연료생산 노력 등을 확대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밖에 존 매케인 상원의원 등 공화당 대선 후보들도 온실가스 규제 등 적극적인 온난화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반해 여론 지지율 30%대를 오르내리는 우리나라 대선 예비후보들은 아직 뚜렷한 환경 정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 후보는 500km의 운하를 뚫어 200km의 바닷길을 단축하겠다는 '한반도대운하 건설'이란 공약을 내걸었다. 다른 후보 역시 열차페리, U자형 국토개발과 같은 공약을 내놨지만 환경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이 때문에 '경제회생'이라는 기치 아래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막무가내 개발이 진행될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대선때 발표된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환경에 대한 국민 관심과 의식이 크게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응답자 61.3%가 대통령 지지후보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후보자의 환경마인드를 중요하게 고려하겠다고 답했다.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대운하 건설이나 국토개발 같은 공약이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대통령을 꿈꾸는 이라면 지금쯤 환경 공약을 개발해야 하지 않을까. 더욱이 '개발'과 대립되는 '환경'의 개념은 20세기의 악몽이다. 21세기에 들어선 지금 사회지도층은 국민들과 함께 '에너지'와 '환경'이라는 더 풀기 어려운 어젠더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결코 상반되고 대립된 개념이 아니라 상호보완적 차원에서 풀어야 한다. 친환경에너지가 화두가 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