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ESCO활성화 위한 혁신방안 추진키로

앞으로 CDM사업이 가능한 프로젝트를 발굴한 ESCO(에너지절약전문기업)는 탄소펀드를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내년부터 ESCO사업에 대한 신규교육과정이 대학에 개설되고, 자금중심의 현행등록 기준도 기술중심으로 개편된다.

 

이와 함께 ESCO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사업이 대폭 강화되고, 아세안 동남아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시장에 우리 ESCO 업체가 진출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산업자원부는 산업계의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최근 이같은 내용의 'ESCO 혁신방안'을 마련, 업계와 전문가의 토론을 거쳐 최종방안을 추진키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산자부에 따르면 이번 방안은 기후변화협약에 우리나라가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입증된 ESCO사업을 통해 기업의 에너지 절약을 확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 아래 마련됐다.

 

1992년 최초로 도입된 ESCO는 지난해까지 9130억원의 정책자금이 지원돼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절감효과를 내는 등 투자대비 효과가 높은 제도로 평가받고 있으나 민감자금 활용에 소극적인 시장의 거부감과  기술인력 부족에 따른 신뢰성 저하로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번 혁신방안에서 ESCO 정책자금을 올해보다 300억원 가량 증액된 1700억원으로 늘리고 CDM사업이 가능한 프로젝트에 탄소펀드를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ESCO 시장의 기술수준을 높이기 위해 에너지자원분야 인력양성센터를 활용해 대학에 신규교육과정을 개설하고, 기술력이 높은 우수 ESCO는 정책자금을 추가 지원하는 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공공부문의 ESCO사업 활성화와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국공립대학과 군부대 등을 상대로 사업설명회를 지속 개최하고, 동남아 국가의 CDM사업과 온실가스 감축시장에 우리 ESCO업체가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산자부 에너지관리팀 관계자는 "그간 ESCO의 시장규모가 급격히 성장했지만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정부주도라는 제도의 한계로 인해 기술인력이 부족하고 정책자금 의존도가 높았다"면서 "혁신방안을 통해 기술수준을 높이고 자생력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