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까지 1조3600억 투입…친환경 에너지 도시로 발돋움"

제주도에서 쓰는 전기는 100% 육지에서 공급된다. 해저케이블은 제주도를 환하게 비쳐주는 탯줄인 셈이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가 조성돼 산업이 발달하고 도민의 경제력이 좋아져 에너지 사용량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도가 안정된 에너지 수급에 목말라 있는 것은 불보듯 뻔하다.

 

김태환(65)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2015년까지 1조3600억원을 친환경에너지 안정적 공급기반 구축과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에 투자하기로 했다"며 지속가능한 개발과 함께 기후변화 방지를 숙원 사업으로 삼고 있다고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도는 지난 7월 11일 지방정부로는 처음으로 환경부와 '기후변화협약 대응 시범도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도는 기후변화 대응 종합대책을 마련해 2012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10%줄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김 지사는 이를 위해 산학연관이 협력해 신재생에너지를 집중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는 2006년 7월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처음으로 에너지관리 전담조직인 '청정에너지과'를 설치 운영했다. 또 제주대학교 공과대학에 청정에너지 실증연구센터를 설립해 지역 특화산업과 전문인력 양성을 펼치고 있다.

 

김 지사는 "현재 19MW인 풍력발전 설비를 오는 2015년까지 150MW로 확대, 지역내 전력수요의 10%이상을 풍력발전으로 전환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제주의 상징인 유채도 한몫할 전망이다. 김 지사는 유채 산업을 육성, 관광사업과 더불어 바이오디젤 생산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 8월부터 바이오디젤 제조업체를 제주도에 유치해 버스, 트럭 등 경유 사용 차량과 중장비, 선박 등에 유채로 생산한 BD20을 공급할 계획"이라며 유채의 전략적 이용을 설명했다.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를 일반인에게 보급하는 일에도 앞장서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생활에너지로 자급자족하는 그린빌리지 조성, 태양광 주택 보급사업, 축산분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자원화 사업 등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감귤을 비롯한 시설농가와 양식장 등 1차 산업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하수열이나 해수열을 이용한 냉난방 에너지 조사 사업을 진행중이다"고 설명하는 김 지사로부터 신재생에너지의 민간화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그는 "수소연료전지 모니터링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라며 국제 자유도시에 걸맞는 청정에너지 자립도 건설의 미래상을 예견할 수 있다"고 피력했다.

 

한편 김 지사는 현재 지자체들이 시행하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해 "대부분 시범적 보급사업에 치중하고 있다"며 "국가가 사업비를 지원하기 때문에 사업 효과보다는 경쟁적으로 실적 위주의 사업을 시행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보급사업을 시행하는 지자체는 한정된 국고가 효율적으로 투자될 수 있도록 사업 선정시 사업 효과와 발전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이밖에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소비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정부나 기업에서 많은 예산을 투자해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해 놓고도 소비시장이 없어 사장되고 있는 경우가 없는지 점검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