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40% 향상…연간 1500억대 수입대체 효과 기대

한국화학연구원이 기존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태양전지 양산기술에 성공,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화학연구원 문상진 박사팀은 산자부의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사업 과제로 (주)글로실(대표 길종원)과 공동으로 태양전지용 다결정 실리콘 잉곳과 웨이퍼 제조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지난 7일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는 웅진에너지가 태양전지 잉곳을 생산하기 위해 생산 공장을 건설중이며, 대부분 태양전지 자체를 외국에서 수입해 모듈을 생산,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잉곳은 태양전지의 원료가 되는 실리콘 덩어리고, 이 잉곳을 태양전지 제조를 위해 얇은 판형태로 자른 것이 웨이퍼다.

 

이번에 태양전지 잉곳 및 웨이퍼 양산기술이 국산화됨에 따라 국내 태양광시장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

 

연구팀 관계자는 "자체 정밀 전열제어 시스템을 적용, 실리콘 원료로부터 결정성이 양호하고 불순물이 극소화된 고품질의 다결정 실리콘 잉곳을 생산할 수있다”며 “현재 미국, EU 등의 태양전지 업체들의 주력 생산규모(240kg/batch)보다 큰 300kg/batch(한 덩어리) 규모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이 실리콘 잉곳에서 차세대 박판형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기반이 되는 200μm ~130μm 급의 박판 웨이퍼를 제조하는 기술을 상용화했다.

 

연구팀은 "선진국보다 양질의 웨이퍼 제조가 가능하다"며 "장치의 단순성과 제조 공정의 효율성으로 생산성을 40% 이상 향상시킨 차세대 기술이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와 관련 2건의 국내 특허등록과 실증화 단계에서 4건의 국내특허를 각각 출원했으며, 이들 소재의 광·물리화학적 물성분석·평가 기술도 동시에 확보했다고 밝혔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기술개발로 연간 1500억원이상의 웨이퍼 수입대체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며 "내년 상반기까지 450kg/batch 급의 세계적인 차세대 잉곳·웨이퍼 양산기술 개발까지 마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