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 시대와 함께 지구 온난화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면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은 물론 투자가 부쩍 늘고 있다. 그동안 강건너 불보듯 해왔던 대기업들도 최근들어 신재생에너지에 주목하고 있으며 새로운 먹거리가 될 것인지에 대한 검토에 나선 모습이다. 이같은 추세에 따라 코스닥에 등록한 일부 업체들은 에너지 및 자원개발을 새로운 영역으로 추가하고 공시하는 경우가 많다. 개중에는 과거 정보기술(IT)이 유행했던 시절처럼 주식시장에서 차액을 노리고 장난을 치는 예도 없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그만큼 내실이 따라가고 있는지에 대해서 우리는 고개를 갸우뚱하지 않을수 없다. 최근 에너지관리공단이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한 바에 따르면 에너지관리공단의 자금지원을 받아 보급사업으로 설치된 신재생에너지 시설 5개중 1개는 정상 가동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관공이 지난 93년부터 2006년까지 시범 및 일반 보급사업으로 설치한 신재생에너지 시설은 모두 460개인데 이중 미가공 시설이 58개소, 설비고장 25개소, 철거 7개소, 가동중지 1개소 등으로 전체의 18.5%인 85개소가 제몫을 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풍력발전기는 전체 보급개소 18개중 10개가 고장나 멈춰있고 3개는 가동중지중이라는 것이다.

 

태양광시설의 경우는 가동이 되고 있더라도 최저가 입찰제에 따라 제대로된 모듈 등을 설치하지 않는 바람에 지난번 태풍 나리로 인한 피해 또한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본지 10월22일자 보도) 보도에 따르면 제주도와 전남지역 남부를 강타한 태풍으로 태양광발전소와 주택보급사업 발전기 20여곳에서 모듈이 날아가는 바람에 1억여원의 피해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누누이 지적한대로 저가입찰제로 값싸고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모듈을 사용했다가 입은 피해라고 아니할수 없다.

 

또한 국내 태양광산업이 외국 업체들에 밀려 제대로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외국 업체들은 자금력을 내세우고 그럴듯한 포장으로 우리 지방자치단체에 접근해 각종 이득을 챙기면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들 업체의 조건을 보다 정확하고 면밀히 따지면 허점이 적지 않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그 성격상 자본의 회임기간이 길고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뿐만아니라 채산성 또한 받쳐주지 못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그럼에도 세계 각국이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는 것은 석유를 비롯한 화석에너지가 갖고 있는 한계 때문이다. 이 점을 면밀히 감안한다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보다 과감한 투자는 물론 그 뒤처리 또한 내실을 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