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가 전국 지자체의 전략사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태양광, 풍력, 바이오연료 등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발전한 청정 전력을 보급해 청정개발체제(CDM)로 인한 수입효과 뿐 아니라 '친환경 지자체'란 홍보 효과도 노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몇개 지자체에만 쏠려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라남도가 전국 신재생에너지 공급량 중 28%를 차지해 가장 높은 보급률을 보였다. 이어 경기도(14%), 강원도(11%), 충청북도(9%) 순으로 보급률이 높았다. 울산은 석유화학공업단지에서 발생한 폐가스를 이용한 발전량이 대부분을 차지해 제외했다<2006 신재생에너지통계. 에너지관리공단>.

 

특히 전라남도와 강원도가 신재생에너지 공급에 1등 공신이다. 전남도는 2006년 한 해 태양광으로 6518MWh의 전력을 생산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울산은 570MWh를 발전해 전남도와 10배 이상 차이가 났다. 지난해 신재생에너지 대상을 받은 광주는 2006년 태양광으로 3059MWh의 전력을 발전해 전남도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풍력단지로 유명한 강원도는 같은 기간 12만8638MWh의 풍력 에너지를 공급해 최고 자리에 우뚝섰다. 지리적 한계로 풍력발전소는 전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부산과 인천, 광주, 울산, 충남 등지에서 발전한 풍력발전 전력은 한 자리수(단위 MWh)에 그쳤다.

 

일각에서는 엄격한 환경 규제와 지역 주민의 반발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제주도에서 풍력발전소 건설이 지역주민의 반대에 부딪혀 중단되기도 했다. 변수를 미리 고려하지 않아 발생한 사건이다.

 

지자체가 나서서 지역 특성에 맞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펼쳐야 할 시점이다. 태양광과 풍력과 달리 연료전지와 바이오(LFG)는 지리적, 환경적 영향이 없는 편이다. 지자체가 신재생에너지를 전략사업으로 펼칠 수 있는 기회가 눈 앞에 있는 셈이다.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단지를 유치하는 지자체도 있다. 산업단지 유치로 인력 고용 문제를 해결하는 등 지역 경제와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천혜의 자연환경으로 풍력, 태양광 '된다'

 

전라남도와 강원도가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이 전국에서 가장 많다. 비결은 천혜의 자연을 들 수 있다.

 

전라남도는 전국 평균보다 높은 일사량을 보인다. 전남ㆍ북도를 합쳐 모두 1178개소의 태양광발전소가 있으며 높은 발전량을 보인다. 한국 전력통계속보에 따르면 똑같은 200kW급 태양광발전소이지만 지역간 발전량 차이가 있다. 2007년 9월 현재 경북에 위치한 A발전소와 순천의 B발전소가 한 달간 약 8.8MWh의 전력량의 차이가 발생했다. 모듈 성능이나 날씨 등 변수가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태양광발전소에는 '일조량'이 최우선 조건이다.

 

전남도는 2008년 18개의 지역에너지개발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이 사업에는 모두 73억2200만원이 투입된다. 도는 순천 하수처리장 등 5개소에 태양광발전시설이, 보성 실비노인요양시설 등 2개소에 태양열 급탕시설과 축산폐수공공처리장에 바이오가스 열병합발전 1개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목포시 등 5개소에는 전면적으로 LED신호등을 교체하고 해양바이오연구원 등 5개소에 폐열회수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다.


강원도는 제주도 다음으로 국내에서 바람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강원도는 바람을 활용한 풍력발전단지 유치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지난해 신재생에너지 공급비율은 3.1%에 달했다. 이를 2010년까지 7.1%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김진선 강원도지사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강원도는 신재생에너지 지방 보급사업에서 3년간 부동의 전국 1위를 지켰다. 이를 기반으로 청정 강원의 풍부한 풍(風), 광(光), 수(水)를 활용한 지역별 특성에 맞는 5대 권역별 신재생에너지밸리를 조성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강원도는 올해 모두 128억원을 투자한다. 바람이 많은 강원 중부권에 대단위 풍력발전단지와 수소스테이션 실증화 단지를 건설할 예정이다. DMZ지역을 이용하기 위한 고산지역 풍력단지화도 계획했다. 강원 남부권은 농업용보를 활용해 소수력발전과 농가에서 배출되는 바이오매스 이용도 기획했다.

 

김 지사는 지난해 10월 신재생에너지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한 '동해안 에너지클러스터' 사업을 총괄하는 전담부서인 에너지산업팀과 기업유치를 위한 입지 기획ㆍ선정ㆍ관리를 책임질 산업단지관리팀을 신설했다.

 

◆신재생에너지 기업 유치로 경제성장 노린다

 

10MW 이상의 대수력 발전소에서 모두 100만5208MWh의 청정 전력을 생산하고 있는 충청북도는 태양광과 풍력과 같은 에너지 보급에 약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충북도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단지를 유치하면서 '신재생에너지 전략사업가'로 등장했다.

 

도는 지난해 1월 현대중공업과 투자협약식을 맺고 음성군 소이공업단지 내에 30㎿급 태양광 발전설비 공장을 설립했다. 공장은 1월 안에 가동될 예정이다. 증평산업단지내 6만6000㎡(2만평) 규모의 부지에 한국철강의 태양광 전지 제조공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착공은 올 1월~2월로 예정됐다. 아울러 신성 E&G도 증평산업단지에 태양광 전지 제조 공장을 설립할 예정이다.

 

충북도는 바이오, IT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업종을 중점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태양광 전지는 4대 전략사업으로 지정했다"며 "차세대 태양광 전지 관련 업계를 집중적으로 유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원활한 교통과 물류를 도의 장점으로 들었다.

 

전라북도도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 유치에 발벗고 나섰다. 도는 2017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수소연료전지, 바이오 등의 핵심 기업 200개를 유치할 계획이다. 동양제철화학이 태양광 전지의 원료가 되는 폴리실리콘 대규모 제조공장을 전북 군산에 건설했다. 넥솔론은 전북 익산에 지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4년간 모두 40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태양전지용 웨이퍼를 생산하기 위해서다. 회사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단계적으로 2700억원을 추가 투입해 생산 라인 확충 및 신제품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넥솔론은 동양제철화학에서 태양전지용 웨이퍼의 원재료인 폴리실리콘을 확보하기 쉬운데다 교통이 편리하기 때문에 전북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소연료전지의 경우 부안 수소파워파크를 중심으로 연구개발(R&D) 기반을 구축하고 현재 일부 가동 중인 새만금 풍력단지를 국내 최대규모의 풍력단지로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또 부안과 김제 일대를 국내 최대의 바이오 원료생산지로 조성키로 했다.

 

이같은 사업에 도는 2017년까지 3조40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도는 이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그린에너지허브추진단'을 설립하고 300억원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전라남도는 신재생에너지 부품과 소재 기반구축사업을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국비 80억원과 지방비 80억원 등 모두 160억원이 투입된다.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시험생산 시설과 장비를 구축해 관련 산업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도는 내다봤다.

 

도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R&D센터와 연계한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며 "연관산업 집적화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산업 정보교류 등 시너지 효과가 기대돼 투자유치에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