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산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2) - 현실편

29일 서울 종로에 위치한 석탄협회 사무국. 하중락 기획팀 과장은 “회원이 몇 안된다”며 머쓱하게 회원명부를 건넸다. 얄팍한 두께의 명부를 펼치자 광업회원 4개사ㆍ연탄회원 4개사ㆍ특별회원으로 석탄공사가 눈에 띈다.
 
한국 석탄산업의 현주소는 연도별 생산량을 비교할 필요도 없이 그렇게 간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었다.

 

현재 가행 탄광 수는 총 7곳. 석탄공사가 장성ㆍ도계ㆍ화순 탄광을 운영하고 있고 경동ㆍ태안ㆍ태백ㆍ성하 4개 기업이 근근이 민영탄광을 운영하고 있다. 경영사정은 민영이나 관영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3개 광산에서 지난해 283만2000톤을 생산한 석탄공사는 석탄산업합리화 이후 발생한 차입금에 대해 이자비용만 한 해 400억원을 쏟아 붓고 있다. 여기에 도급제를 운영하고 있는 민영탄광처럼 생산효율이 나오는 것도 아니다.

 

최근 석탄공사는 생산성 5% 향상 추진ㆍ해외유연탄광 직접개발ㆍ남북석탄협력사업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꾀하고 있지만 누적된 채무를 자체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단계를 이미 지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민영기업들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4개 기업 중 유일하게 연간 생산량이 30만톤 이상인 경동의 한 관계자는 “현상유지는 하고 있지만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말로 무연탄업계의 사정을 대변했다.

 

이 관계자는 “거의 고정량을 생산하고 있지만 갈수록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면서 “사업전망이 어두워 지난해 광산업을 아예 접은 흥진의 사례가 오늘날 석탄산업의 현주소”라고 잘라 말했다.

 

문제는 석탄업계의 전반적 어려움이 갈수록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데 있다.

정부가 톤당 2만9000원의 지원금을 투입하지만 인건비 상승과 채굴여건 악화로 석탄업은 소위 남는게 없는 장사로 전락한지 오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러다가 국내 광산이 모두 문을 닫고 해외에서 수입할 날이 올 것”이라며 “경제성이 없다, 예산이 없다고 할 것이 아니라 증산을 위한 방법을 강구해야 그나마 국내 업계가 살아남는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고유가 지속에 따른 수요 급증과 석탄업계의 신음에도 불구하고 1989년 이후부터 감산정책을 지속해 온 산업자원부는 기존 정책을 선회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 하고 있다.

 

김정환 산자부 석탄산업팀장은 “고유가로 수요가 늘면서 증산정책이 언급되고 있는 걸로 안다”면서 “정부 입장에서는 업계 자체의 증산은 반대하지 않지만 보조금 지급은 곤란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정부 예산을 들여 폐광을 시키던 정책을 다른 대안도 검토해보지 않고 선회할 수는 없다”며 “비축탄의 여유 등을 감안해 향후 정책을 수립하겠지만 지금시점에서 증산 지원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목요일 31일에는 석탄산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3) - 미래편이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