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해상풍력을 적극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해상풍력 REC(신재생 공급인증서) 가중치를 기존 1.5~2.0에서 2.0~3.5까지 상향 조정할 계획. 즉 해상풍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많이 제공함으로써 해상풍력 발전시설을 건설하는 업자에게 우대해주는 것이다.

정부는 국내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계획을 3단계로 추진하고 있다. 우선 1단계로 육지에서 5km 이내 해상에는 100~500MW급 중소규모를 적극 육성하며 2단계는 계획 입지제도를 통해 5km 이상 먼 바다에 1000~3000MW 규모로 건설함으로써 해상전력망 등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3단계로는 초대형 해상풍력발전단지와 부유식 해상 풍력단지를 세워 동북아 슈퍼 그리드를 갖추는 한편 차세대 기술혁신을 통해 해상풍력 발전 장비를 해양 플랜트로 수출상품화하는 전략까지 세워놓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풍력에너지 산업의 위상은 초라하기 그지없다. 재생에너지 산업에 국가적 명운을 걸고 있는 중국의 경우 세계 풍력발전 시설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의 경우 풍력발전량이 신재생에너지의 11%에 불과하다.

더욱이 육상의 경우 거의 발전가능 부지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실정. 남은 건 해상풍력이나 바다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것도 어민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딛혀 있는데다 육지까지 전력을 수송하는데 엄청난 비용이 들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2016년 신재생에너지 백서에 따르면 국내 해상풍력의 잠재 발전량은 이론상 1242GWh로 추정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에 따라 2019년까지 서남해 풍력발전단지에서 2500MW, 제주도에는 2019년까지 1000MW, 2030년까지 2000MW를 건설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해상풍력 육성계획에 따라 해상풍력 관련 업체들은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맥쿼리, WPD, CIP, 외르스테드 등 풍력분야 유명 해외 기업들이 국내 해상풍력시장 진출을 자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는 이런 대형 해외기업들이 국내 해상풍력 발전사업에 참여할 경우 국산 기자재를 사용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과거 육상풍력 발전시설을 건립할 때도  실적이 빈약한 국내 업체보다는 상대적으로 설치실적과 가격경쟁력이 높은 지멘스, 베스타스 등 외산 기자재 업체들이 대거 참여한 것이 사실이다.

최근 제주도에서 탐라해상에 이어 두 번째 해상풍력단지가 될 가능성이 큰 한림해상풍력도 터빈 선정에서 지멘스가 강력히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당장은 어렵더라도 중장기적으로는 국산 기자재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도록 정부의 구체적이고 확실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