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하순 유럽의 독일 남서부 소도시에서는 세계적으로 매우 뜻깊은 행사가 열렸다. 독일 남서부 소도시 루드빅스하펜에서 열린 세계 최대 화학회사인 바스프의 ‘2008년 컨퍼런스’. 바스프의 위르겐 함브레히트 회장은 이 자리에서 기후변화 문제를 역설하면서 기후변화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글로벌 기업 가운데 최초로 기후보호 책임자(CPO.Climate Protection Officer)를 임명했다.

 

함브레이트 회장은 “건설, 자동차, 산업 생산 등과 같은 부문에 사용되는 바스프의 제품들은 전 세계적으로 2억5000만톤 이상의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는데 일조해 왔다”면서 “이는 바스프 제품의 생산과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의 3배 규모”라고 덧붙였다. 바꾸어 말하면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감소시키는데 더 기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바스프는 또한 전체 연구개발(R&D) 예산의 3분의 1을 기후보호 기술에 투자할 계획이며 올해는 약 4억8000만유로(약 7000억원)를 책정했다고 기염을 토했다.

 

우리는 줄곧 온실가스 배출로 초래되고 있는 기후변화 문제가 강건너 불이 아니라 발등에 떨어진 불이라고 주장해 왔다. 비록 우리나라가 올해부터 시작된 교토의정서에 의한 의무감축대상국 38개국가에 속하지는 않았지만 결코 방관할수 없는 문제라고 강조해 왔다. 왜냐하면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 경제로서는 상대방이 되는 국가들이 곧 온실가스 의무 감축 대상국이기 때문에 우리에게 바로 영향이 오기 때문이다.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하는 유럽연합 등 선진국들로서는 가능한한 탄소배출이 적게 되는 제품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세계에서 가장 큰 석유화학회사인 바스프의 이번 기후변화 대응책을 보고 우리도 더 이상 간과할수 없는 시점에 이르렀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바스프의 CPO 임명과 집중적인 기후분야 기술투자는 곧 기후변화 협약 문제를 규제와 피해나가야 할 부문에서 벗어나 오히려 새로운 사업분야로 활용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읽혀진다.

 

바스프의 CPO는 바스프의 전세계적인 영업망에 걸쳐 온실가스 배출과 제품의 생산 및 폐기 등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된 모든 활동을 총괄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쉽게 말하면 바스프의 전반적인 제품 생산은 물론 제품기획 단계서부터 판매에 이르기 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경영에 기후변화 문제를 접목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행히 새로 출범하는 이명박정부는 에너지효율화와 신재생에너지 개발, 원자력의 활용이라는 정책수단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는 새 정부의 이같은 노력이 꾸준하게 근본부터 착실하게 이루어지기를 간곡히 당부한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