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전력난 해소 및 경제교류 위한 타당성 조사 필요성 공감대

▲송영길 의원이 '한반도의 새로운 성장 북방경제'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송영길 의원이 '한반도의 새로운 성장 북방경제'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이투뉴스] 최근 남북화해 분위기 속에서 남북경제협력을 위해 공동 풍력사업을 추진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선 지난 10년간 중단된 북한지역 풍력자원 조사부터 재개하자는 주문이다.

송영길 국회의원과 남북풍력협력사업단, 한국풍력산업협회, 남북강원도협력협회, 대한전기협회, 한국풍력에너지, 북방경제협력위원회는 16일 국회의원회관 3세미나실에서 ‘남북 풍력에너지 협력을 위한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선 ▶한반도의 새로운 성장 북방경제(송영길 국회의원) ▶남북 교류협력 현황과 추진방향(김영일 통일부 남북교류협력기획과장) ▶남북 풍력발전 협력전망과 북측 풍화자원조사 재개 방안(김홍우 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남북 강원도 교류협력(윤인재 강원도청 경제진흥국 에너지과장) ▶남북 전력현황과 재생에너지 협력방안(김태기 대한전기협회 박사) 등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김홍우 에기연 박사<br>
▲▲김홍우 에기연 박사

특히 김홍우 박사는 지난 10년 전 중단됐던 남북풍력협력사업단의 북한 풍력자원조사 결과와 공동 풍력사업 추진을 위한 제언을 했다. 북한의 심각한 전력난을 타개하고, 양측 경제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분산자원인 풍력과 태양광을 보급해야 하며, 이를 위한 자원조사가 재개돼야 한다고 했다.

김 박사에 따르면 북한은 약 3km를 중간 주상변압기 없이 배전하고 있다. 가정집은 60~80V의 낮은 전압이 들어오면 승압변압기를 2~3대씩 직렬로 연결해 220V로 승압시켜 전기를 이용하고 있다. 또 절연피복이 되지 않아 동선과 알루미늄선 도난이 잦으며, 펌프로 물을 퍼올릴 동력이 부족해 약 10%이상 논에 물을 대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북한에서도 태양광과 풍력 등 독립·분산자원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편이라고 밝혔다. 현재 100kW급 풍력발전기를 자체 생산·공급하고 있고, 북한 당국도 태양광과 풍력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1995년 미국 NREF가 교육용으로 공급한 프로그램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점과 한국을 비롯해 해외 풍력분야 기술동향에 대한 정보 부족 등을 미루어볼 때 기술 수준은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김 박사는 남북한이 가진 기술 및 경제력, 우수한 풍력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공동사업을 추진해야 하며, 이를 위해 10년 전 중단된 북한지역 풍력자원조사가 재개돼야 한다고 밝혔다.

김 박사에 따르면 남북풍력협력사업단은 2007년 6월 8일부터 같은 달 19일까지 공동으로 북한지역 풍력자원조사를 추진한 바 있다. 당시 조사지역은 ▶온천군(풍속6~8m/s) ▶마식령(8~10m/s) ▶치마대(8~10m/s) ▶지초덕(10m/s이상) ▶백두산 삼지연(12~14m/s) ▶대흥단(12~14m/s) 등 6곳이었다.

당시 남측 조사단은 5기의 계측기를 가져가 온천군과 마식령에 2기를 직접 설치했다. 나머지 치마대, 지초덕, 백두산 삼지연, 대흥단 등 4곳은 설치가 무산됐다.

김 박사는 “간접적으로 북측이 나머지 3기의 계측기를 설치해놓은 것으로 전해들었다”며 “남북 협의를 통해 그간 계측 결과를 토대로 풍력발전을 위한 경제성·타당성 분석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북한의 주력기술인 초기에는 소형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고 추후 남한의 대형 풍력발전기를 공급하는 전략을 취하는 게 상호 이익을 도모하는 전략이라고 밝혔다.

예시로 장산곶과 발해만 인근에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해 국내 풍력발전기를 공급하고, 국제적으로 통용 가능한 온실가스 배출권(CDM)사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박사는 민원과 인허가 문제에 있어 북한 당국의 결정만 필요하기 때문에 남한보다 빠른 단지 구축이 가능할 수 있다고 봤다.

김 박사는 “냉정한 시각이 필요하다. 북한은 과거 2000년대 같은 절대빈곤에서 많이 벗어났다. 20년간 과학기술 중심정책을 펼쳐왔고, 일부 가시적인 성과도 거두고 있다. 우리 예상처럼 값싼 노동력과 풍부한 자원을 제공하는 나라로만 머무르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 역시 주변국보다 기술과 자본면에서 매력적인지, 이런 사업이 우리의 일자리 문제 드을 잘 해결해 줄지 등을 따져보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덕환 기자 hwan0324@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