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산업기술원, 25일 미세먼지 처리기술 신규과제 착수보고회
버스정류장 미세먼지 저감, 발전용 바이오매스 정전여과시스템

[이투뉴스]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남광희)은 미세먼지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올해 새로 추진하는 미세먼지 저감 기술에 대한 착수보고회를 25일 서울 은평구 기술원에서 열었다.

착수보고회에서 발표되는 새로운 연구과제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버스정류장 공간분리형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차량 부착형 도로 먼지 집진시스템 ▶도심 도로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부착형 유전영동 집진 기술 ▶바이오매스 발전소용 미세먼지 제거 정전여과시스템 ▶고형폐기물 연료사업장의 복합대기오염물질 저감기술 등 5가지다.

먼저 ‘버스정류장 공간분리형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기술’은 버스정류장에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한 미세먼지 집진모듈을 적용, 정류장 안의 미세먼지 농도를 바깥과 비교할 때 50% 이상 저감하는 목표로 개발된다. 특히 이 기술은 리빙랩(실험실이 아닌 실제 생활공간에서의 실험활동)을 기반으로 개발 초기 단계부터 서울시와 부천시의 실제 버스정류장에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기술개발을 진행하는 국민 소통형으로 추진한다.

‘차량 부착형 도로 먼지 집진시스템’과 ‘도심 도로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차량 부착형 유전영동 집진 기술’은 자동차도로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추진된다. 이중 도로먼지 집진시스템은 고성능 도로분진흡입 청소차를 개발하는 기술로, 청소효율을 기존 대비 50% 이상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차량 부착형 유전영동 집진 기술은 입자 지름 2.5㎛ 이하의 미세먼지(PM2.5)를 전자기장 방식으로 필터에 모아 저감하는 기술이며, 소비전력이 작으면서도 필터는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다는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목표다. 

‘바이오매스 발전소용 미세먼지 제거 정전여과시스템’은 전기집진기술과 여과집진기술을 일체형으로 조합한 하이브리드형 집진시스템이다. 전기집진은 집진판에 전기를 걸어 전자를 만들고 집진판을 통과하는 먼지 등에 전자를 부착시켜 포집 처리하는 기술이며, 여과집진기술은 먼지마스크처럼 먼지를 걸러내는 여과포를 통과시켜 포집하는 방식이다.

‘고형폐기물 연료사업장의 복합대기오염물질 저감기술’은 폐목재 등 고형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먼지 및 전구물질(질산화물, 황산화물 등)을 선택적 환원 촉매(SCR) 등 일련의 처리공정을 통해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번 착수보고회에서는 올해 신규로 착수하는 기술 소개뿐만 아니라 그간 환경부에서 추진해 온 무인항공기(드론) 미세먼지 측정기술 등 미세먼지 관련 환경기술 연구개발 성과도 소개했다. 무인항공기 미세먼지 측정기술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측정센서를 드론에 탑재해 미세먼지 측정 및 예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저탄소·저마모 친환경 타이어 기술’은 기능성폴리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타이어 마모 발생률을 기존대비 20% 절감할 수 있으며 9% 이상의 연비 개선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 ‘다중이용시설 공기질 모니터링 기술은 실내공기질 측정 장치와 사물인터넷을 활용, 학교 등 다중시설의 공기 질을 신뢰수준 80% 이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남광희 환경산업기술원장은 “미세먼지는 국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현안 문제로서, 국민과의 소통에 기반한 미세먼지 대응 기술개발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