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이재영)은 30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중국의 지역별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과 한·중 협력”을 주제로 국제세미나를 가졌다.

중국사회과학원 및 주요 지역의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석한 이번 세미나는 중국의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과 한·중 양국의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주요 지역의 인공지능(AI), 스마트시티, 산업인터넷, 빅데이터 분야의 발전현황과 구체적인 응용사례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양평섭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은 개회사를 통해 뉴노멀에 진입한 이후 중국은 국가 경쟁력 확보와 발전방식의 전환 촉진,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4차 산업혁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면서 지역별로 산업생태계와 혁신능력, 지방정부의 정책 등이 달라 4차 산업혁명 추진전략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 차별화된 협력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소장은 특히 특히 양국이 중점을 두고 있는 스마트시티, 스마트헬스케어, 인공지능, 스마트팩토리 등의 분야에서 서로의 기술적 우위요소를 보완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1세션의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허쥔 중국사회과학원 공업경제연구소 주임은 스마트화·디지털화·네트워크화를 특징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은 향후 중국의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과 경제발전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중국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과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중국제조 2025’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중 양국은 향후 기초 과학기술 및 기술표준 분야에서의 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양국 기업 간 스마트제조 기술협력 및 오픈플랫폼 구축을 통한 상호 시장진출 지원방안 마련 등을 제안했다.

김상훈 산업연구원 해외산업연구실장은 4차 산업혁명은 생산-소비 가치사슬의 단순한 전이(Transition)보다는 재편(Transformation)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각 국가는 사회적·경제적으로 서로 상이한 발전단계에 놓여 있으므로 국가 간 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 역시 국가별로 다른 관점에서 도출되어야 하는데, 특히 기존의 기술 및 산업과의 연계를 우선적으로 고려한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세션 발표에서 왕시원 베이징 화샤공업인터넷 스마트기술연구원 원장은 중국 국가 차원에서의 인공지능산업 육성 배경을 소개하고, 베이징의 인공지능 발전 정책과 그 특징을 분석했다. 그는 인공지능 분야 가운데 ▶AI 제품 ▶AI 핵심 기반기술 ▶스마트제조 등을 한·중 간 협력이 유망한 분야로 제시했다.

이번 세미나는 양국의 연구기관 및 기업의 전문가들이 참석, 중국 중앙정부의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을 비롯한 주요 지역의 분야별 정책과 한·중 협력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다고 평가된다.

이재욱 기자 ceo@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