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산업협회, 산림훼손 주범이라는 주장은 지나친 과장이자 확대해석
경제림 아닌 잡목지역 설치는 자연보호에도 도움…서로 공존방법 찾아야

[이투뉴스] 임야지역의 태양광발전 설치면적만으로 이를 산림훼손의 주범으로 폄하하는 것은 지나친 과장이자 확대해석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저감에 태양광이 나무보다 더 효율적인 만큼 경제림이 아닌 임야의 경우 태양광발전설비 설치가 자연보호 측면에서도 유효하다는 이유에서다.

태양광산업협회는 최근 태양광발전으로 인해 여의도 면적의 9배에 해당하는 산림이 훼손되었다는 내용의 연구내용 및 보도에 대해 극히 일부의 사례를 가지고 전체인 양 호도하고 있다며 반박했다. 앞서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육상 태양광 발전사업 현황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갈수록 태양광발전시설 임야 설치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토사유출이나 산사태 등이 발생한다며 가급적 임야에 설치하는 것을 억제해야 한다고 기술했다.

태양광업계는 이 보고서에서 언급한대로 일부 태양광발전소의 무리한 토목공사로 토사유출과 토양침식 문제를 일으킨 적은 있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이는 수만 개의 태양광발전소 가운데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로 소수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문제는 설계나 시공기준을 적절하게 조정하면 해결되는 것으로 현재 관계당국도 정책연구용역을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단순한 설치면적을 가지고 마치 태양광발전이 산림파괴의 주범인양 호도되는 것에 대해서도 태양광업계는 강한 반감을 드려냈다. 태양광발전 자체가 나무를 심는 것보다 더 높은 탄소저감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이 2012년에 발간한 ‘주요 산림수종의 표준 탄소흡수량’ 보고서에 따르면 1ha당 30령 소나무의 탄소저감 효과는 10.8톤(CO2환산기준)이다. 반면 에너지기술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1ha에 설치 가능한 태양광발전소(606kW)는 304톤의 탄소저감효과가 있다. 30령 소나무를 조성하는 것보다 같은 면적에 태양광발전을 설치하는 것이 30배 가까이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는 셈이다.

이렇듯 산림조성보다 더 높은 태양광발전의 탄소저감 효과는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태양광발전의 설치면적을 가지고 태양광발전을 환경파괴자처럼 몰고 가서는 안 된다는 것이 태양광업계의 생각. 여기에 나무가 수령 30년까지 가장 많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과 우리나라 나무들의 경우 수령 30년 이상이 된 것이 태반이며, 유실수 등 경제림보다는 아카시아 등 잡목이 많은 사실을 감안하면 임야 태양광을 마냥 해롭다고 공격해서는 득이 없다는 시각이다.

태양광산업협회 관계자는 “태양광발전이 산림조성보다 높은 이산화탄소 저감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산림의 가치를 폄하하는 것이 아니며, 벌거벗은 민둥산에 정성을 들여 조림한 결과 오늘날 우거진 숲을 볼 수 있는 것은 우리에겐 큰 행복”이라고 말했다. 이어 “더욱이 산림은 이산화탄소를 고정해 기후변화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에 유효한 수단이기 때문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못 박았다.

다만 그는 “경제림이 아닌 숲이나 잡목 등을 효과적으로 태양광발전으로 대체하면 서로 공존하며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며 “태양광발전을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하기에 앞서 산림과 잘 조화를 이루며 보급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무작정 태양광발전의 효용과 가치를 폄하하는 일이 반복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