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동일설비 중 미점검 80여개 시설 즉시 'OFF'

▲세종시 부강면 아세아제지 ESS 화재 당시 소방당국 진화 장면
▲세종시 부강면 아세아제지 ESS 화재 당시 소방당국 진화 장면

[이투뉴스] 국산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한 ESS설비에서 원인불상 화재가 잇따르고 있다. 특정 배터리 제조사만의 일도 아니어서 원인규명이 미궁으로 빠져도는 모양새다. 일각에선 배터리 자체 결함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17일 충북 제천시 송학면 아세아시멘트 260㎡규모 ESS동에서 불이나 건물 전체와 배터리 1000여개를 태우고 두시간만에 진화됐다. 이 화재로 축전지 1000여개와 PCS(전력변환장치), 건물 1동이 소실, 42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앞서 정부는 올해 들어서만 ESS화재가 15건이나 발생하자 전국 1295개 ESS사업장을 대상으로 민관합동 정밀 안전점검을 벌여왔다. 이 과정에 아직 점검을 받지 않은 아세아시멘트 설비에서 추가로 불이 난 것이다. 

해당설비는 작년 12월 시공사인 LG CNS가 LG화학 배터리로 완공한 피크부하 저감용 ESS이다. 공교롭게 아세아그룹은 지난 7월에도 계열사인 세종시 아세아제지 ESS가 화재로 큰 피해를 봤다.  

긴급진단 조치에도 화재가 발생하자 산업통상자원부는 가동중단 카드를 꺼내들었다.

산업부는 사고현장에 국가기술표준원, 전기안전공사, 소방청 등으로 구성된 현장 조사단을 급파하고, 긴급조치 차원에 아직 정밀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전국 나머지 사업장의 ESS 운영중단을 권고했다.

특히 LG화학 배터리가 납품된 80여개 사업장은 운영을 즉시 중단토록 하고, 당국 정밀점검을 앞당기기로 했다. 

배터리제조사 측이 이번 화재 발생 전 충전용량 상한 하향조정을 요청한 사실도 새롭게 드러났다.

발전사들에 따르면, LG화학은 지난달 중순 자사 ESS설비를 운영하는 재생에너지 사업장에 공문을 보내 충전 상한을 기존 95%에서 75%로 20%P 낮춰 줄 것을 요청했다.

이 공문에서 LG화학은 "운영조건 변경에 따라 발생하는 손해는 LG화학에서 배상하겠으니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 드린다"고 당부했다. 배터리가 일정수준 이상 충방전 조건을 견디지 못하는 것으로 봤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ESS는 비싼 배터리 가격 탓에 특례 전기요금제나 정부 보조없이 아직 수익성이 안 나온다. 태양광이나 풍력 연계용 ESS는 운영중단 시 REC(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가중치) 손실이, 피크부하 저감용은 전기료 손실이 발생한다.

A사 관계자는 "제조사가 보상을 약속했지만, 15년 이상 장기간 운영해야 할 설비라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라면서 "배터리 자체 결함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