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업과 중점업무 수소경제로 재편하고 ESS업무는 축소
다중이용시설 ESS 운영 중단조치…1차 조사결과 논의 중

▲세종시 부강면 ESS 화재 현장
▲세종시 부강면 ESS 화재 현장

[이투뉴스] 산업통상자원부가 이전 정부서 에너지신산업 핵심아이템으로 키운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지우고 현 정부 관심사인 수소경제 띄우기에 나섰다. ESS의 경우 잇따른 화재사고로 사실상 골칫거리로 전락한 반면 수소는 대통령과 여·야 정치권까지 나서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0일 관가 소식통에 따르면, 산업부는 신재생에너지정책단 산하 에너지신산업과 소관이던 ESS 업무 상당부분을 국가기술표준원 전기통신제품안전과로 이관했다. 이와 동시에 ESS 중심이던 기존 신산업과 인력을 대거 수소경제 업무로 재배치, 부서 중점업무를 수소로 전환하고 ESS는 보급·정책 등에 대해서만 관여하고 있다.

실제 부서장(과장)을 포함한 신산업과 10명 중 8명(서기관·사무관 포함)의 업무분장이 수소로 탈바꿈했다. 기존 ESS 정책은 수소의 부차업무가 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화재 대응 등 (ESS)총괄을 국표원이 하고 있다”면서 “애초 담당은 아니지만, 안전을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산업계는 정부가 책임질 일은 조용히 떠넘기고 정치적 코드 맞추기에 급급하다고 지적한다.

A사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 땐 장관까지 나서 ESS를 밀어붙이더니 막상 책임질 일이 터지니 힘없는 기표원을 끌어드여 일을 넘기고 자기들은 수소경제로 분칠하고 있다. 훗날 수소경제의 허구가 드러나면 똑같이 움직일 사람들"이라고 일갈했다.

이런 가운데 ESS 화재사태는 정부 추가 가동중단 조치와 원인규명 조사로 새 국면을 맞고 있다. 산업부는 <이투뉴스>등이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인명사고 우려를 제기하자 최근 전국 해당설비에 임의 가동중단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1월 1일자 ‘전국 다중이용시설 307곳 ESS 화재 무방비’ 보도 참조)

이와 함께 기표원 중심의 사고원인 규명 조사위를 발족, 조만간 1차 조사결과를 전문가 위원단과 논의할 예정이다. 현재 ESS제조사는 사업자 측의 배터리 관리소홀을, 설치·운영업체는 배터리 자체결함을 화재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작년10월말 현재 국내에 누적 설치된 ESS는 배터리용량 기준 4534MWh, PCS(전력변환장치) 용량기준 1568MW이다. ESS설비를 설치한 재생에너지 발전소나 사업장, 건물 수로는 1327곳에 달한다. 이중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ESS는 307개소, 278MWh이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