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MW 광양그린에너지 공사계획 산업부 인가, 6월 발전소 착공
연료수급 과정서 화석연료 다량 소비…연료시장에 부정적 영향

▲광양 황금산단 광양그린에너지 바이오매스 발전소 부지 위치도
▲광양 황금산단 광양그린에너지 바이오매스 발전소 부지 위치도

[이투뉴스] 2022년 상업운전 예정인 220MW 광양그린에너지는 설비용량 기준 국내 최대 바이오매스 발전소다. 연간 80만톤의 우드펠릿(우드칩 기준은 130만톤)을 연료로 사용할 예정이다. 단순계산으로 25톤 덤프트럭 3만2000대분이며, 국내 원목 생산량의 5분의 1이다. 주로 동남아, 북미, 러시아산을 조달하되 점차 국내산 비중을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2017년말 상업운전을 시작한 125MW급 영동화력(1호기)은 현존 최대 바이오매스 발전설비다. 하루 1700톤, 연간 약 50만톤의 우드펠릿을 쓴다. 이 발전소 옆에 짓는 2호기(200MW)가 내년 6월 추가 준공되면, 일일 연료사용량은 4200톤대로 늘어난다. 현재 해외서 선박으로 수입된 바이오매스는 철도·트럭 육상수송을 통해 발전소로 투입되고 있다.

석탄화력 뺨치는 대형 바이오매스 발전소들이 속속 상업운전을 시작하거나 당국 허가를 받아 착공에 들어간다. 기저부하 발전소처럼 정비기간을 제외하고 상시 가동되는 전원(電源)인데다, 워낙 규모가 커 국내외 바이오매스 유통시장이나 RPS(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시장에도 적잖은 파급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발전업계에 따르면, 보성그룹 계열 한양은 지난달 26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광양그린에너지 공사계획인가를 받았다. 작년 6월 26일 정부가 RPS(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고시를 일부 개정하면서 바이오매스 전소(全燒) 예비설비에 부여한 유예기간(6개월) 마지막 날 정부 승인을 받았다. 한전 발전자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도 이 사업 주주로 참여해 REC 매입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공사계획 인가에 따라 광양그린에너지는 기존처럼 REC(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가중치 1.5를 인정받아 안정적인 사업수익을 누리게 됐다. 한양 측은 이미 롯데건설을 건설 EPC사로 선정하고, 포스트휠러와도 주기기 협상을 벌이고 있다. 발전소 부지는 전남 광양시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내 황금산단 3만7000여평이며, 사업비는 6820억원을 예상하고 있다.

발전사 측은 “건축허가 등을 거쳐 빠르면 6월께 착공할 수 있도록 후속일정을 추진 중”이라며 “일부 지역주민이나 환경단체가 우려하는 폐목재 사용에 대해선 충분한 설명으로 우려를 불식시킬 예정이다. 우드펠릿이나 우드칩 등 100% 순수목재만 사용하고, 지역주민으로 구성된 환경감시단이 수시로 연료나 환경시설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바이오매스 발전사업이 이처럼 대형 위주로 재편되는 상황을 지켜보는 외부시선은 곱지 않다. 온실가스를 줄이고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장려하는데, 대형 바이오매스 발전소는 막대한 양의 연료를 국내외서 수급하는 과정에 적잖은 화석에너지를 소비하고 기존 연료유통 시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례로 30MW급 동해바이오는 연간 30만톤 내외의 우드칩이나 폐목재를 쓴다. 그런데 이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바이오매스는 50여대의 대형트럭에 실려 전국 각지에서 수송된다. 연비가 리터당 1~3km(경유)에 불과한 대형트럭들이 연중 장거리를 오가며 석유를 소비해야 차질없는 연료조달이 가능하다. 광양그린에너지는 이 발전소 대비 7배 이상 크기다.

국내산 바이오매스 이용을 늘리는 일도 쉽지 않다. 목재업계에 의하면 원목이나 미이용 바이오매스 공급단가는 톤당 7만~12만원이다. 벌목부터 유통, 파쇄 단계에서 원가가 상승하고 생목(生木)인 경우 함수율이 높아 건조가 필요하다. 반면 재활용업체가 대형 폐가구 등을 파쇄해 발전소에 납품하는 폐목재 공급단가는 톤당 3만원 수준에 불과하다.

지자체들은 비용이 많이 드는 자체 소각 대신 재활용 용역입찰을 부쳐 폐가구를 처리하고 있다. 이 과정에 우후죽순 불어난 재활용업체는 과당경쟁을 벌여 저가낙찰을 받고, 덕분에 바이오매스 발전소들은 값싼 연료로 높은 수익을 거두고 있다는 게 유통업계 전언이다. 바이오매스 발전소 입장에선 이렇게 값싼 연료를 두고 굳이 국내산 미활용 목재를 사용할 이유가 없다. REC를 개정하면서 폐목재와 순수 바이오매스를 구분하지 않은 게 패착이다.

유성진 한국목재재활용협회 회장은 "대형 바이오매스 발전소들이 가동되면 다량의 연료를 조달하는 과정에 국내 목재유통 먹이사슬도 다 무너질 것"이라며 "정부는 미이용 바이오에 가중치를 준다고 했지만, 증빙과 인증관리가 안돼 SRF처럼 부작용만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회장은 "유럽이나 일본처럼 시·군 단위별로 소규모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보급하고 반경 30~40km이내서 연료를 수급해야 지역경제 활성화와 탄소감축이 실현된다"고 덧붙였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