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MW급 노렸으나 허가·부지·자금 문제로 사실상 포기
올해 설계 착수해 2023년 완공 목표, 市에 출자 요청키로

[이투뉴스] 마곡지구 등 서울 강서·양천 지역의 지역난방 중심열원이 될 마곡 열병합발전소 발전용량이 우여곡절 끝에 285MW로 최종 가닥을 잡았다. 최초 60MW급에서 출발해 경제성을 이유로 480MW까지 키우는 방안이 적극 검토됐으나, 여러 이유로 현재 허가받은 285MW만 건설키로 의견을 모은 것이다.

서울에너지공사(사장 박진섭)는 최근 마곡열병합 발전용량 산정과 관련 당초 허가 받은 285MW급으로 건설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설계에 착수해 오는 2023년 완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더불어 마곡열병합 투자비 마련을 위해 서울시에 추가 출자를 요청할 계획이다.

▲서울에너지공사 마곡열병합 예정부지.
▲서울에너지공사 마곡열병합 예정부지.

2011년 서울시와 SH공사 집단에너지사업단(현 서울에너지공사)은 마곡지구 지역난방 공급을 위해 60MW급 열병합발전소와 연료전지 등 70MW 규모 발전시설을 짓기로 하고 산업부에 허가를 받았다. 또 수요의 50% 이상을 하수열, 소각폐열, 연료전지 폐열 등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소규모 열병합발전과 신재생에너지원의 경우 사업성이 낮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경제성 확보를 위해 발전용량 증설방안이 추진됐다. 용량이 클수록 효율이 올라가는 것은 물론 가스공사 직공급이 가능해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시가 원전하나줄이기를 통해 에너지자립율을 끌어올리겠다고 나선 것도 동력이 됐다.

이후 발전용량 100∼400MW까지 다양한 용량에 대해 검토에 나섰으나 강서구와 협의과정에서 최종적으로 200MW급(200∼300MW)으로  결정했다. 마곡 상업지구 용적률 상향 등으로 인해 열수요가 늘어난 것은 물론 30년이 넘은 목동열병합을 대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감안됐다.

이후 SH공사 집단에너지사업단은 산업부로부터 285MW로 집단에너지사업 변경허가를 받아 2020년까지 발전소를 완공한다는 사업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이후 서울에너지공사 설립 및 GS파워와의 열연계 문제가 불거지면 건설이 다시 미뤄지기 시작했다. 최종적으로 GS파워로부터 연평균 47만Gcal의 열을 받기로 계약하고, 서울에너지공사 설립까지 마쳤으나 마곡열병합은 하염없이 늦춰졌다.

서울에너지공사 설립 이후에는 다시 150MW급으로 축소하는 방안까지 대두됐다. 지방공기업평가연구원이 연구용역을 통해 전력시장 환경변화로 285MW가 자칫 과대설비가 될 수 있는 만큼 열수요에 맞춰 최소용량인 150MW급을 권유하고 나서면서 부터다. 한강 너머에서 지어지고 있는 서울복합발전소에서 열을 받는 방안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금새 마곡열병합 발전용량 결과가 다시 뒤집어졌다. 한국지역난방기술이 진행한 ‘서울지역 집단에너지 확대 기본계획 수립방안’에서 서울의 지역난방 잠재수요가 6만 세대에 육박하는 만큼 이를 위해선 경쟁력 있는 열병합발전소 건설과 최적의 열배관망이 구축돼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이후 서울에너지공사는 400MW급 열병합발전소 건설이 경제성 및 향후 지역난방 수요개발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는 판단 아래 다시 용량 증설을 추진했다. 하지만 산업부와 서울시가 취지는 공감하지만 현실적인 여건상 힘들다는 반응을 보이는데다 변경허가 및 부지확보 어려움, 투자비 조달 등을 고려할 때 공사가 희망하는 480MW는 쉽지 않다는 판단 아래 최종적으로 마음을 접은 것으로 확인됐다.

공사는 허가 받은 용량인 285MW로 연내 설계발주를 시작으로 마곡열병합발전소 건설에 본격 나설 예정이다. 이어 내년에 환경영향평가 및 공사발주를 거쳐 오는 2023년 완공한다는 목표다. 총사업비는 SH공사로부터 사야 하는 부지비용까지 포함할 경우 4000억원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서울에너지공사 관계자는 “외부 수열을 받더라도 자체 CHP를 갖춰야만 안정적인 지역냉난방 공급이 가능한 만큼 더 이상 시간 끌지 않고 올해에는 마곡열병합 건설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부채비율 200% 제한 등을 감안할 때 투자비 마련을 위해선 추가출자가 불가피한 만큼 서울시에 이를 요청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