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정부가 최근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은 야심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선보인 수소 프로젝트의 핵심은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수소경제를 선도할수 있는 산업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2040년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가 되겠다는 것이다.

지난해 2000대에 불과한 수소차 누적생산량을 약 20년후인 2040년 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 등 모두 620만대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수소충전소는 지난해 14개소에서 2022년 310개, 2040년에는 1200개소로 늘리며 수소 대중교통도 확충돼 2040년에는 수소택시 8만대, 수소버스 4만대, 수소트럭 3만대를 보급하겠다는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도 수소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로드맵을 내놨지만 그 성과를 보면 초라하기 짝이 없다. 물론 새 정부가 야심차계 수소경제 로드맵을 실현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일 것이며 정부 계획대로 된다면 반대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입이 딱 벌어질 정도의 야심찬 수소경제 활성화 목표에 적지 않은 사람들이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다.

특히 이번 수소경제 활성화 계획에는 발전용 연료전지를 재생에너지 활용 수소 생산과 연계시켜 2040년까지 수출 7GW를 비롯해 모두 15GW 이상으로 확대하고 가정 및 건물용 연료전지도 2040년까지 94만여 가구에 2.1GW를 보급한다는 것이다.

현대자동차가 세계 최초로 수소차 개발에 성공한 것은 사실이다. 더욱이 앞으로 주력 에너지가 수소로 갈 날이 멀지 않았다는 것도 모두가 인정한다. 하지만 수소가 실용화되고 우리 주위에서 필수적인 에너지가 되기 위해서는 넘어야할 고비가 적지 않다.

수백만대의 수소 차량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수소가 원활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은 3가지. 먼저 석유화학 및 철강 등의 제조 공정에서 나오는 부생수소로 생산량은 미미한 수준이다. 

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액화천연가스(LNG)를 개질해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과정에서 엄청난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며 에너지효율을 크게 떨어뜨린다. 마지막으로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 함으로써 산소와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 물을 전기분해하는 데는 많은 양의 전력이 소요되나 이 많은 전력은 어디서 충당하나.

결국은 아무리 수소 차량을 많이 생산하더라도 연료인 수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연료전지 또한 간단치 않다. 현재 정부보조를 빼면 적자의 수렁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연료전지를 확대하려면 또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간다. 또한 연료전지는 미국의 항공우주국(NASA)이 갖고 있는 원천기술로 이전이 근본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