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유입과 오염축적으로 발생해 2차유입 때는 최고농도 기록
동북아 대기정체 등으로 한국-중국서 동시에 고농도 미세먼지

[이투뉴스] 올해 1월 중순 역대 최고 수준으로 발생했던 고농도 미세먼지는 국외 영향이 평균 75%에 달해 중국 등의 외부영향이 컸던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국외영향이 지역·날짜별로 최대 82%로 치솟아, 자국 영향이 크지 않다는 중국측 주장과는 완전 딴판이었다.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올해 1월 11일에서 15일까지 발생한 미세먼지(PM2.5) 고농도 발생 원인을 지상 관측자료와 기상 및 대기질 모델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8일 공개했다.

1월 중순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는 나쁨 수준의 농도가 4일간 지속됐으며, 특히 12일에는 올해 처음으로 일평균 ‘매우나쁨(75㎍/㎥ 초과)’의 강한 고농도 현상이 발생했다.

▲집중측정소 권역별 미세먼지 추이.
▲집중측정소 권역별 미세먼지 추이.

아울러 14일은 2015년 미세먼지(PM2.5) 측정 이후 6개 권역(서울 129㎍, 인천 107㎍, 경기북부 131㎍, 경기남부 129㎍, 대전 94㎍, 세종 111㎍, 충북 123㎍)에서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또 2015년 이후 역대 초미세먼지 측정최고치(2015년 10월 전북, 128㎍/㎥)도 경기북부(131㎍/㎥)가 갈아치웠다.

환경과학원이 대기질 모델 기법을 이용해 국내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번 사례는 국외 영향은 전국 기준 69∼82%로 평균 75% 수준으로 나타났다. 물론 2018년 11월 3∼6일 사례의 경우 대기정체 하에서 국내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했을 때에는 국외 영향이 18∼45%를 기록하는 등 기상상황에 따라 크게 좌우한다는 지적이다. 국외는 중국과 몽골, 북한 및 일본을 모두 포함하지만, 중국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이번 고농도는 중국 산둥반도 및 북부지역에 위치한 고기압권 영향으로 인한 대기정체 상태에서 10∼11일 1차 유입된 후 13일 이후 북서풍 기류로 강한 국외 오염물질이 2차로 추가 유입되는 등 매우 이례적인 상황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동북아시아 전반의 대기정체 속에 중국 오염물질이 10일 산둥반도 부근 고기압의 영향으로 서풍기류가 형성되면서 유입되고, 서해상 기류 재순환으로 해소되지 못한 상태에서 13일부터 다시 중국 북부 고기압 영향으로 미세먼지가 추가 유입·축적됐다는 의미다.

환경과학원 대기오염집중측정소 측정결과를 분석한 결과 평상시(1월 1∼3일) 대비 11∼14일은 황산염이 중부권은 4.4배인데 반해 백령도가 8.7배로 늘었고, 질산염 역시 중부권은 3.8배에 그쳤으나 백령도는 8.9배 증가해 외부유입이 큰 영향을 끼쳤다. 황산염과 질산염은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이 대기중에서 광화학 반응으로 생성되는 2차 미세먼지다.

여기에 11∼13일까지 수도권측정소의 질산염 농도는 평상시 4.5㎍/㎥ 대비 3.9배, 황산염은 평상시 1.8㎍/㎥ 대비 3.3배 증가한 반면 2차 유입시기에는 질산염은 7.6배, 황산염이 11.9배 증가해 2차 유입 시 더 크게 늘었다.

▲고동도 기간(1월 11~14일) 평균 에어로졸 위성 관측 결과.
▲고동도 기간(1월 11~14일) 평균 에어로졸 위성 관측 결과.

위성을 활용한 에어로졸 광학두께(AOD) 분석결과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13일 한반도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미세먼지를 포함한 에어로졸이 많이 분포했으며, 특히 12일과 14∼15일은 전국적으로 고농도의 에어로졸이 관측됐다.

환경과학원은 이번 고농도는 한국과 중국 모두 기상악화와 장시간 오염물질의 축적으로 고농도가 강했던 사례이므로 중국 측에 분석결과를 전달하는 등 연구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양국 간 조기경보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올해 2월 일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책대화에서 실무협의를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