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어나면서 전력 계통망의 과전압 사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같은 과전압 현상은 태양광 발전시설이 밀집해 있는 전라도 지역에서 작년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마침 원자력발전소가 고장으로 가동되지 않아 과전압 사태가 가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태양광 발전은 임의로 출력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이나 석탄화력 등 대형 발전소가 이를 조절해주는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작년 말 기준 누적 태양광 설치량의 약 3분의 1이 집중되어 있는 전라도 지역에서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이 늘어나면서 순부하가 감소한 상태가 됐고 이럴 경우 전통 발전기나 한전 변전소의 리엑터가 무효전력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당시 전라도 지역의 최대 규모 발전소인 한빛원전이 1호기부터 5호기까지 격납건물 철판 부식 및 콘크리트 구조물 구명 발견 등으로 가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여서 신속하게 무효전력을 흡수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전압은 허용된 범위 이상으로 올라가면 전력 소비기기나 설비가 고장을 일으키고 이를 막으려면 임의로 전력생산을 중단시켜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큰 불편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이같은 과전압 사태는 출력조절이 안 되는 재생에너지 설비 증가에 따라 언제든지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한반도의 계통은 다른 국가와 전력망이 연결되지 않은 ‘섬’과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외부 전력을 수혈할 수도 없는 실정.

더욱이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앞으로 계속 늘어나게 되어 있다. 2030 계획에 따라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20%로 높이는 방안이 착실하게 실천되고 있음은 물론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 작성을 앞두고 최근에는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25~40%까지 높이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즉 해가 갈수록 출력조정이 안 되는 재생에너지 비중은 늘어나고 있으나 이에 맞춰 전력 계통의 안정성을 취하는 투자나 계획은 각각 별개로 운용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즉 정부의 전력수급계획과 한국전력공사의 송변전 계획이 예나 지금이나 별도로 제각각 수립되고 있는 것.

따라서 전문가들은 전국 배전계통에 연결되는 재생에너지 설비의 출력을 실시간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하루빨리 구축하고 권역별로 컨트롤 센터를 세울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현재로서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적기 때문에 방치하고 있으나 계획대로 재생에너지 비중이 20~40%로 늘어나면 재생에너지 출력을 대량으로 끊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그동안 별개로 움직여왔던 발전소 설비 계획과 송전계획이 맞물려 돌아가야만 큰 전력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점을 당국은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