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산업협회, 2차 재생에너지 국민인식조사 결과 발표
에너지원 거주지 수용도 태양광-바이오-풍력 순으로 높아

[이투뉴스] 우리나라 국민들이 바이오,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중을 크게 늘려야한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LNG는 현상유지 해야 한다는 답변이 많았으며, 원자력은 줄이자는 주장이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보다 근소하게 앞섰다. 반면 석탄에너지 비중은 크게 줄여야한다는 견해를 보였다.

한국태양광산업협회(회장 이완근)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6일부터 11일까지 진행한 '2차 재생에너지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에서 에너지별 선호비중과 수용도, 태양광발전 효용성에 대한 인식에 대한 이해 등을 조사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3.1%다.

먼저 에너지원별 선호 비중에서는 현재보다 늘려야 한다는 응답을 기준으로 바이오에너지가 63.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태양광(62.7%), 풍력(59.3%), 원자력(23.4%), LNG(21.9%), 석탄(4.0%)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12월에 진행한 1차 조사와 비교하면 바이오가 태양광보다 약간 높아졌지만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야한다는 의견은 여전했다.

▲에너지원별 선호도 조사 결과.
▲에너지원별 선호도 조사 결과.

현재보다 에너지 비중을 줄여야한다는 의견은 석탄이 80.8%로 가장 높았으며, 뒤를 이어 원자력(39.8%), LNG(17.4%) 순으로 나타났다. 현행유지는 LNG가 53.2%로 가장 많았으며, 원자력(31.8%), 풍력(29.6%) 등이 뒤를 이었다.

이념성향별로 보면 재생에너지 중 태양광은 진보성향이 74.5%, 중도 60.3%, 보수 48.7%가 늘려야한다고 답변하는 등 전체적으로 고른 선호도를 보였다. 바이오와 풍력 역시 진보성향에선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의 이념 계층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났다.

반면 원자력은 보수성향 응답자가 39.8%로 늘려야한다는 의견을 보였지만, 중도(22.8%), 진보(13.8%) 성향 응답자들은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석탄은 진보(87%), 중도(74.7%), 보수(86.3%) 모두 현재보다 크게 줄여야 한다고 답변했다.

에너지별 거주지 수용도에서는 태양광 발전시설이 68.4%로 가장 높은 찬성률을 보였으며 뒤를 이어 바이오(65.9%), 풍력(64.2%), LNG(35.4%), 원자력(21.3%), 석탄(5.4%)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재생에너지에 대해선 높은 찬성비율을 보였지만, 석탄과 원자력 발전시설은 각각 81.2%, 58.4%로 건설반대 의견이 높았다. LNG 발전시설은 찬반이 각각 35.4%, 37.2%로 나타나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에너지원별 거주지 수용도 조사 결과.
▲에너지원별 거주지 수용도 조사 결과.

태양광발전 효용성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 에너지 생산 비용이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이 54.5%로 나타났다. 이념별 성향을 보면 진보성향 응답자가 61.7%로 중도(52.1%), 보수(51.1%) 성향 응답자보다 생산비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태양광에너지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의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73.5%가 '환경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해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18%)‘보다 훨씬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태양광시설 유해성에 대해서도 우리 몸과 가축에 해로울 것이 없다는 응답이 60.4%로 해로울 수 있다는 의견(17.8%)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최근 태양광발전과 관련한 가짜뉴스에 대해서는 지난 1차 조사 때보다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다. '태양광 패널에 중금속 및 발암물질이 함유돼 있다'는 물음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16.8%로 지난 1차 조사의 답변인 21.1%보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태양광 패널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라는 비율이 25.2%로 사실이라는 비율(18.2%)보다 높게 나왔다. 다만 보수성향 응답자에서 사실이라 응답한 비율이 25.8%로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였다.

진경남 기자 jin07@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