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자립도(생산/소비) 충남 263%, 인천 255%, 전남 197% 순
서울·대전은 자립률 2%수준 불과, 전력사용은 서울·경기 압도

[이투뉴스] 충남과 인천, 경북, 전남 등이 전력소비량보다 전력생산량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기를 생산해 소비하기보다 타 시도에 공급하는 역할을 주로 하고 있는 셈이다. 충남과 인천은 영흥화력 등 대형 석탄발전소가, 경북과 전남은 원자력발전소가 큰 영향을 끼쳤다.

반면 서울과 대전, 광주 등은 전력자립률이 2% 수준에 불과하는 등 대도시들은 다른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소비할 뿐 생산은 거의 없었다. 인천과 함께 고리원자력이 있는 부산만 100%를 넘겼다. 해안가가 없거나 적어 내륙형인 충북과 전북, 경기 역시 전력 생산량보다 외부 유입량이 많았다.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회장 박태윤 연세대 교수)는 한국전력 빅데이터센터의 전력사용량과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지역에너지 통계연보(2018) 등을 토대로 광역자치단체별 전력 생산량 및 사용량 현황을 분석했다.

분석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력소비량은 모두 52만6149GWh로, 전년 대비 3.6%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최대 111년 기상 관측 사상 ‘역대 최고의 폭염’과 함께 수출 증가 등 경제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전기사용량을 끌어 올렸다.

광역자치단체 중 전력소비량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로 전국 소비량의 23.3%에 해당하는 12만2696GWh를 사용했다. 이어 충남이 5만2013GWh, 서울 4만7810GWh, 경북 4만5959GWh, 경남 3만5159GWh, 울산 3만3748GWh 순으로 파악됐다.

전력을 가장 많이 생산한 지역(2017년 기준)은 충남으로 전국 발전량의 23.8%에 달하는 13만1897GWh를 생산했다. 다음으로 경북(8만4097GWh, 15.2), 전남(6만6048GWh, 11.9%), 인천 6만2556GWh(11.3%), 경기(6만1851GWh, 11.2%), 경남(5만5566GWh, 10.0%)이 뒤를 이었다.

전력자립도(전력생산/전력소비, 2017년 기준)는 충남이 262.9%로 가장 높았으며, 인천도 255.2%로 1.5배를 넘겼다. 또 전남(196.8%)과 경북(185.0%), 경남(160.4%) 등도 소비보다 생산이 월등히 많았다. 하지만 서울(1.82%)과 대전(1.96%), 충북(5.21%), 광주(5.53%), 대구(17.38%) 등은 전력자립률이 현저히 낮았다.

▲광역자치단체별 전력자립도 현황(2017년 기준)
▲광역자치단체별 전력자립도 현황(2017년 기준)

전체적으로 충남은 전력소비량 2위, 전력생산량 1위, 전력자립도 1위로 전력생산량의 162% 이상을 타 지역에 공급하고 있다. 반면 서울은 전력소비량은 3위지만 전력생산량은 공동 15위, 전력자립도는 꼴찌라는 불명예를 기록했다.   

그린캠퍼스협의회는 우리나라 전력생산과 소비 구조가 지역별로 차이가 큰 것은 충남과 인천 등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대형 발전소가 밀집된 지역이 주로 수도권의 전력을 공급하는 배후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력 다소비 지역인 서울과 경기는 국내 전력소비량의 31.7%를 사용한다. 하지만 자체 전력 발전량은 11.4%에 그치고, 20.3%를 외부에서 공급받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는 수도권 전력소비량이 32.4%로 더 늘었다.

더불어 서울(9.1%), 대구(3.0%), 대전(1.9), 광주(1.7%) 등 인구가 밀집한 대도시는 전력 소비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지만, 전력자립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82%, 17.38%, 1.91%, 5.53%로 저조했다. 특히 서울이 자체 전력생산 보다 55배의 전기를 더 소비했으며 이어 대전이 52.2배, 충북 20.3배, 광주 18.3배, 대구 5.86배로 많았다.

그린캠퍼스협의회는 에너지정의는 물론 지역별 전력 생산 및 소비 불균형 해소를 위해 전력자립도가 미미한 광역자치단체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통해 전력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또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 감축을 위한 건물효율화 사업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지속적인 대학의 기후변화 적응 및 녹색문화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교육통계 및 대학정보공시제도에 대학의 환경 및 에너지 관련 정보를 수집, 공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를 통해 대학 스스로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사회와 소통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공립대학과 에너지목표관리대학, 배출권할당대상대학만이 아닌 모든 사립대학에 환경정보공개제도를 확대 실시할 것도 제안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