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식 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 상근부회장

대형 경유화물차 저공해화 시급오염물질 저감효과 막대

구매·유가보조금, 충전인프라 구축 등 정책적 지원 바람직

[이투뉴스] “대형 LNG화물차 보급이 시급하다. 수송 분야에서 화물차의 미세먼지 배출이 심각한데, 그중에서도 대형 LNG화물차의 미세먼지 배출 기여도가 가장 크다. 이런 상황에서 대형 LNG화물차는 외면하고, 기술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수소차에 모든 초점을 맞춘다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신원식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 상근부회장은 아직 기술적으로 검증되지 않은데다 가격도 비싼 수소 차량을 화물차로 활용하려는 것에 공감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경제적이나 환경적 측면서 가장 효과가 큰 LNG화물차 보급을 놔두고, 왜 엉뚱한 곳에 예산을 쏟아 붓느냐는 지적이다.

셰일가스, PNG 도입 등 글로벌 천연가스 시장의 변화에 따라 앞으로 천연가스 가격은 더욱 낮아질 소지가 크다. 그만큼 연료 가격경쟁력이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시장의 반응도 다르지 않다. 화물차 업계를 비롯한 관련업계에서 화물차의 LNG전환 등에 대해 보조금 등 정책적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환경부 등 중앙부처가 앞장서 수송 분야의 경제적·환경적 측면에서 시장이 필요로 하는 부분을 조사하고 파악해 지원해야 한다고 본다

신원식 상근부회장은 정부의 그간 경유차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친환경차 보급 노력이 승용차와 버스에 집중되어 있다면서 화물차 저공해화 정책으로 소형화물차에 대한 전기·LPG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나, 정작 효과가 가장 큰 대형 경유화물차의 저공해화는 이뤄지지 않아 이 부문의 정책 추진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주장은 미세먼지 배출기여도를 보면 확연하게 드러난다. 화물차의 톤급별 미세먼지 배출 비중을 보면 대형이 32%로 가장 높고, 소형 18%, 중형 12% 순이다. 대형화물차 중심의 저공해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근거다.

대형 경유화물차를 LNG로 전환할 경우 PM 100%, NOx 95~97%, CO2 19%의 오염물질 저감 효과가 기대된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고 밝히는 그는 연간 약 6만대의 경유화물차를 LNG화물차로 전환하면 PM 18, NOx 1200, CO2 16848톤 상당이 저감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관련업계의 목소리도 전했다. LNG화물차 구매보조금 및 유가보조금 지원, 충전소 구축 지원 등 정부에서 LNG화물차 보급정책을 시급히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에 갈수록 힘이 실린다는 것이다.

중대형 화물차 분야에서 무공해차량의 기술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는 시점까지 천연가스 연료는 가교 역할을 충분히 한다. 여기에 미국산 셰일가스 생산 확대 등으로 세계 천연가스 가격의 큰 폭 인하도 예상된다. 천연가스 연료의 친환경성 및 경제성 이점을 살려 공공기관과 민간차원의 자발적인 LNG화물차 및 건설기계 시범보급과 L·CNG충전인프라 구축사업도 모색되고 있다. 이 같은 신사업은 범정부과제로 추진되는 일자리 창출에도 큰 효과를 거둘 것이다

수송 분야에서 CNG버스의 역할에도 말을 꺼낸 그는 올해 5월 기준 전국 시내버스의 유종별 등록현황에 따르면 CNG 27215(78.2%), 경유 7251(20.8%), 전기 320(0.9%), 수소 2대로 여전히 경유버스 비중이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경유버스 비중은 201621.2%에서 201721.7%, 201821.0%에서 올해 20.8%로 제자리걸음 수준이다.

환경부 등 정부부처의 친환경버스 보급 확대에 대한 정책적 의지에 대해서는 높은 평가를 내렸다. 환경부 추경 예산안을 보면 전기버스 등 친환경버스의 보급 확대를 위해 구매보조 및 인프라 구축 예산을 증액하는 등 노선버스의 친환경성 확보를 위한 정부의 정책 의지가 확고하다는 평가다. 환경부는 올해 추경예산을 통해 전기버스의 경우 대당 1억원의 보조금을 지원, 본예산을 통한 300대 보급보다 328대가 더 많은 628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전기버스용 급속충전기 보급을 위해 설치비 5000만원의 절반을 보조금으로 지원해 올해 200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친환경버스 보급을 이원화해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CNG버스 운행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CNG버스가 보급되기에 상대적으로 한계가 있는 중소도시는 전기충전소 설치 등 인프라 구축이 용이한 장점을 고려해 경유버스 대·폐차를 전기버스로 우선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책적 지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