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일본의 소프트뱅크와 구글 등에 이어 세계 1위 IT기업 A사가 부산에 대형 데이터센터를 증설하는 등 한국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CDC)를 건설하는 붐이 일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바닥면적 500㎡ 이상 국내 데이터센터는 2000년 53개에서 지난해 155개로 3배 가까이로 늘었다. ICT 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사물인터냇,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미래산업까지 가세하면서 데이터센터 수요 자체가 늘었기 때문이다.

데이터센터 급증세는 관련 전력설비용량 통계로 확인된다, 한국데이터센터 연합회 집계에 따르면 2000년 35.8MW(설비용량 기준)에 불과했으나 2010년 143.4MW, 작년에는 248.6MW 순으로 최근 10년간 연평균 11.2% 늘었다. 여기에 최근 수도권과 부산권 신설사업을 감안하면 2021년 설비용량은 420MW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같은 데이터센터 설치 붐이 국내요인뿐 아니라 오히려 해외 대기업의 국내 진출이 많다는 게 문제다. 외국의 대형 IT 기업들이 우리나라에 데이터센터를 세우려는 이유는 지진 등 자연재난이 일본보다 적은데다 중국은 정치적 상황이나 규제 리스크가 크기 때문. 그러나 진짜 이유는 한국의 저렴한 전기요금과 우수한 전력 인프라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물론 우리나라의 전기요금 체계가 정상적이어서 전기요금이 원가보다 높다면 문제될 것이 없다. 한국전력공사도 전기 수요가 늘어나면 그만큼 많은 전기를 팔수 있기 때문에 사업성도 높아진다.

하지만 우리나라 전기요금은 소비자 가격이 전력 생산 원가보다 낮은 상황이기 때문에 웃지 못 할 심각성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해외 유수기업의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전력이 원가보다 낮기 때문에 소비자인 우리 국민이 이를 부담해주고 있는 꼴이다. 전력공급을 독점하고 있는 한국전력공사는 한국의 최대 공기업이다.

공기업이 적자가 나면 그 주름살은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오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해외 유수기업이 우리나라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것을 환영할 수 없는 것이다. 과거 해외 대기업이 우리나라에 투자한다며 쌍수를 환영한 적도 있었지만 이는 현실을 모르는 우둔한 짓이었던 게 판명이 났다.

최근 한전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기요금은 2017년 기준 주택용의 경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65.8% 수준에 그치고 있다. 산업용 역시 OECD 평균의 96% 수준이다. 따라서 해외 대기업들이 우리나라에 데이터센터를 세우면 값싼 전기요금으로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우리 전력산업의 안정적인 공급, 고른 품질 등은 강력한 유인요인이 되고 있다.  원가 이상의 전기요금이 부과된다면 국가에도 도움이 될 일이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전기요금체계는 ‘콩보다 싼 두부 값’이라는 표현대로 적자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