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제3차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 개최 지원 논의

▲엄재식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영구정지한 고리 1호기 원자로 안전상태를 둘러보고 있다.
▲엄재식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영구정지한 고리 1호기 원자로 안전상태를 둘러보고 있다.

[이투뉴스] 2030년까지 국내 원전 12기의 설계수명이 순차 만료됨에 따라 정부가 원전 설계·건설 등 선행주기에 치우친 산업구조를 해체·폐기물관리 등 후행주기로 이동·육성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서울 수송동 석탄회관에서 ‘제3차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를 열어 원전 후행주기 분야 기자재 해외진출 사례와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후속조치 현황 등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 사업을 추진한 세아베스틸과 원전해체‧방폐물 관리 해외시장 진출을 준비 중인 두산중공업 사례를 공유했다.

이어 지난 4월 산업부가 발표한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후속조치를 점검하고, 연구개발(R&D) 자금 지원 계획과 원전해체 대비 조기발주 등 정부차원의 지원계획을 논의했다.

IAEA에 따르면, 작년말 기준 전세계 상업운전 원전 453기 중 68%가 30년 이상 가동한 원전이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어서 2030년까지 고리 1~4호기, 월성 1~4호기, 한빛 1~2호기, 한울 1,2호기 등 12기 설계수명이 끝난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각 기업이 선행주기 역량을 토대로 새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로 돕고, 산업 생태계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개발사업 지원과 해체물량 조기발주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우선 올 하반기에 79억원 규모 원전해체 R&D 신규과제를 추진하고 과학기술부와 공동으로 중장기 기술개발사업을 기획하고 있다. 원전해체 단위사업을 세분화 해 2020년까지 1640억원을 조기발주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은 "기업들이 원전해체와 방폐물 관리 등 후행주기 시장에 적극 진출하기를 희망한다”면서 "정부도 성공적으로 마무리 돼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유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