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경연, 한국 혁신성장 핵심분야 수소경제에 주목

[이투뉴스] 수소경제시대를 맞아 국내 정유업계 전반의 공동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석유정책연구팀장은 최근 이같은 내용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주요내용과 석유산업 대응방향’ 보고서를 공개했다.

김 팀장에 따르면 최근 국내외적으로 수소경제가 한국 혁신성장의 핵심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국내는 수소차, 연료전지 등 수소 활용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수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대규모 화학 산업 기반과 함께 전국 단위의 수소 유통을 지원할 발달된 LNG망 등 충분한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수소의 수요 및 공급 인프라 부족, 원천기술 미비 등으로 경쟁력 있는 수소시장을 만들기 위한 정부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김 팀장은 정부가 올해 1월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향후 석유산업의 대응 방향을 검토했다.

◇ 수소 수요 2040년 526만톤까지 확대

김 팀장은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가 비전으로서 수소차 및 연료전지 세계시장 점유율 1위 달성을 목표로 시장창출과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풀이했다.

먼저 수소전기차의 시장창출을 위해 수소전기차 양산체계 구축 및 보급 확대, 수소 택시·버스 대중교통 전환, 공공부문 수소 트럭 활용 등이 구체적으로 시행되는 중이다. 정부는 내수 및 수출물량을 포함해 지난해 약 1800대였던 수소전기차 시장의 누적규모를 2022년 8만1000대, 2040년에는 620만대 이상으로 확대시킬 계획이다. 지난해 14개소에 불과했던 수소충전소도 2022년 310개소, 2040년에는 1200개소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수소 연료전지의 시장창출을 위해서, 발전용 연료전지 설치규모를 현재 307.6MW에서 2022년 1.5GW 수준으로 확대하고 2040년 수출 및 내수물량을 합산해 15GW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 팀장은 이처럼 정부의 의도대로 수소 활용산업이 육성·확대되면 수소 자체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수소시장의 규모도 에너지 부문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수소차와 연료전지 등 수소 활용산업에서 창출되는 수소 수요는 연간 13만톤 정도지만 로드맵대로 수소 활용 산업이 성장할 경우 2022년에는 연간 47만톤, 2030년에는 194만톤에서 2040년에는 526만톤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 “연료전지 육성보다 수소 생산이 더 큰 의미 지녀”

보고서는 지난해 기준 수소생산 방식별 생산단가는 부생수소가 1kg당 2000원 미만으로 가장 저렴하며, 천연가스 추출방식이 2700~5100원 수준, 수전해 방식은 최소 9000원 이상 1만원 수준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 같은 가격차이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은 우선 부생수소를 일부 활용하지만 대규모 공급원으로서 단기적으로는 천연가스 추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우선 전국 4개 인수기지(인천, 평택, 삼척, 통영)에서 공급받은 천연가스를 적정 압력으로 조정하는 한국가스공사의 정압관리소(142개소) 등에 중대형(300~1000N㎥/h)급 이상 수소추출기를 설치, 거점형 중·대규모 수소생산기지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수요처 인근 도심지에 LPG 및 CNG 충전소 또는 CNG 버스 차고지 등에 중형급(300N㎥/h) 수소추출기를 설치, 분산형 소규모 수소생산기지로서 운영한다. 다만 천연가스 추출방식은 이산화탄소 배출 문제가 숙제로 남기 때문에 산업 육성의 초기단계에서 한시적으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봤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은 이를 고려해 2030년까지 천연가스 추출방식의 공급비중을 전체 수소필요량 대비 50% 수준으로 줄이며, 2040년까지 30%까지 축소하도록 계획돼 있다.

대신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수소 생산방식의 공급비중을 확대해 전체 수소 필요량의 약 50%, 2040년까지는 70%까지 도달케 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팀장은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적 측면에서 수소는 에너지원이 아니라 에너지 운반체”라고 설명했다. 수소는 그 자체로 에너지원이라기보다는 전기나 열 등의 최종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실상은 구리전선, 배터리 등과 유사하다는 주장이다.

그는 이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수소를 최종에너지로 변환하는 연료전지 자체의 육성보다는, 연료전지 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연료전지에 투입하게 될 수소가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생산·공급되느냐가 상대적으로 더 큰 의미를 지닐 수 있다”고 밝혔다.

◇ 내연기관 퇴출되면 정유업계 타격…경쟁력 약화 막아야

김 팀장은 “수소경제 이행 추진 자체가 국내 석유산업에 직접적인 위협요인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지난 6월 4일 확정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은 수소차를 290만대 누적보급하겠다는 상당히 공격적인 목표를 제시했다”며 “‘경유차 감축 및 저공해차 확대 로드맵’ 수립과정에서 논의되는 ‘2040년까지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내지는 퇴출 선언’까지 포함될 경우 국내 정유업계의 타격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전체 석유제품 내수시장에서 휘발유와 경유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내연기관 연료시장 축소는 국내 정유산업의 가동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내연기관 연료시장 축소가 국내 정유 산업의 가동률 하락으로 이어지고, 다시 가격경쟁력 약화를 유발해 내수시장 뿐만 아니라 수출시장도 축소시키는 연쇄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에 대비한 석유산업 전반의 공동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진오 기자 kj123@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