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온실가스 배출량 7억900만톤으로 전년비 2.4% 증가
전기·열 860만톤, 철강 610만톤 등 에너지 분야가 증가 주도

[이투뉴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증가세가 대폭 둔화됐던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다시 상당폭의 증가세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경기활성화에 따라 전체 배출량의 87%를 차지하는 에너지 분야의 증가가 전체 증가를 주도했다.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홍동곤)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2017년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7억914만톤CO2eq(이산화탄소환산톤)으로 확정했다. 이는 2016년전년 6억9257만톤 보다 2.5%, 1657만톤 증가했다.

전년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한 것은 전기 및 열생산 부문에서 860만톤(3.5%), 철강 610만톤(6.5%), 불소계 온실가스 310만톤(20.6%) 가량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기·열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860만톤 늘어난 것은 석탄부문 배출량이 무려 1260만톤 늘었고, 가스부문 역시 110만톤이 늘면서 증가를 주도했다. 반면 석유부문은 520만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석탄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 이유는 현 정부에서 추진한 노후석탄 조기폐지정책에 따라 2017년 일부설비((서천 1·2호기 400MW, 영동 1호기 125MW)가 폐지됐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정부에서 허가받았던 설비(북평 1?2호기 1190MW, 신보령 1?2호기 1852MW, 삼척그린 2호기 1022MW, 태안 10호기 1050MW)가 신규 설치된 것이 주요원인으로 분석된다.

철강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610만톤 늘어난 이유는 대부분 원료탄 사용 증가에 따른 배출증가(590만톤)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원료탄 사용 증가는 철강제품의 수출회복에 따른 조강 생산량의 증가(3.6% )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불소계 온실가스 소비 부문의 배출이 310만톤 늘어난 것은 냉매가스(220만톤) 및 공정가스(130만톤) 부문의 배출량 증가로 인해 발생했다. 이는 냉방·냉장기 생산 증가에 따른 냉매 가스 수입량 증가(HFCs 49%), 반도체·디스플레이 호황에 따른 불소계 가스 구입 증가 영향으로 분석된다.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비중은 에너지 86.8%, 산업공정 7.9%, 농업 2.9%, 폐기물 2.4% 순으로 나타났다. 배출량 증가원인 분석에서 설명한 ‘전기·열’ 및 ‘철강’ 배출량이 바로 대표적인 에너지 분야 증가량이며, ‘불소계 온실가스’는 산업공정 분야에 포함된다.

에너지 분야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86.8%에 해당하는 6억1580만 톤으로 전년대비 2.2%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에너지산업(44.0%), 제조업·건설업(30.3%), 수송(16.0%), 기타 및 미분류(9.1%), 탈루/고체연료(0.1%), 탈루/석유·천연가스(0.6%)로 나타났다.

산업공정 분야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7.9%에 해당하는 5600만톤으로 전년대비 6.0% 증가했다. 광물산업(65.2%), 할로카본 및 육불화황 소비(32.7%), 화학산업(1.7%), 금속산업(0.5%)이 늘었다.

농업 분야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2.9%에 해당하는 2040만톤으로 전년 대비 0.3% 감소했다. 벼재배(29.5%), 농경지 토양(28.3%), 장내발효(21.4%), 가축분뇨(20.7%) 등의 증가에 따른 것이다.

토지·임업(LULUCF) 분야에서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4160만톤으로 전년대비 5.3% 감소했다. 폐기물 분야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2.4%에 해당하는 1680만톤으로 전년대비 2.0% 증가했다. 매립(46.8%), 소각(42.7%), 하폐수처리(8.4%)가 모두 늘었다.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나타내는 배출집약도를 살펴보면 ‘국내총생산(GDP) 10억원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대비 0.7% 감소한 456톤으로, 199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1인당 배출량’은 2013년 한 명당 13.8톤을 기록한 이후 2016년까지 소폭 감소했으나, 2017년 13.8톤으로 전년대비 2.1% 증가했다.

홍동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가 둔화되었지만, 2017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다소 증가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 전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