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강릉과 삼척, 울진 등 동해안에 대형 발전소는 속속 들어서고 있으나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공급하는 송전망은 이를 따르지 못해 앞으로 5~6년후에는 최악의 송전대란이 예상된다는 소식이다.

한국전력과 전력거래소 등 분석에 의하면 현재도 송전능력을 초과한 발전력으로 원전 2기에 해당하는 규모의 발전소를 놀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내년 10월에는 1400MW급 신한울 1호기와 이듬해 같은 용량의 한울 2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이 지역에 24시간 365일 가동하는 기저발전기 12GW가 들어서는 셈이다.

그러나 이 지역의 전력수요는 고작 2~3GW로 나머지 10GW가량을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으로 송전해야 한다는 것. 문제는 민자 석탄발전소가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2022년부터. 2022년 4월 강릉 안인화력 1호기(1020MW)를 시작으로 2023년 2월 강릉안인 2호기, 같은해 10월 포스코 삼척화력 1호기(1050MW) 등 4140MW가 상업운전을 시작한다.

이처럼 동해권의 대형 발전소가 모두 준공되면 기저발전량은 17GW 이상으로 증가하고 수도권 송전량도 지금보다 2배가량인 14GW로 늘어난다.

반면에 전력을 수도권으로 공급하는 신한울~신가평(4GW)·신한울~수도권(4GW) 초고압직류송전선로(HVDC)는 언제 완공될지 기약할 수 없는 상태다. 바꾸어 말하면 제품은 충분히 생산되고 있지만 이를 소비지에 운송하는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아 원활하게 제품을 공급할 수 없는 처지에 놓인 것이다.

이처럼 송전망 구축이 부진한 것은 우선 지역주민 반대가 심한데다 200km에 달하는 육상 HVDC 송전선로 및 변환소 건설을 위한 절대 공기가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는 완공됐지만 송전선로가 없어 수도권으로 전기를 공급할수 없는 상황에 처한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9차 전력수급계획에서 신규 석탄화력의 공기를 늦추는 것이 유일한 해법이지만 보상문제 등이 걸려 있어 이마저 쉽지는 않다.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정부의 장기 전력수급계획과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이 따로 놀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전력수급계획과 송변전계획은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는 사안인데도 전원계획을 수립할 때는 한전이 배제되고 송전계획을 만들 때는 전력거래소가 배제됨으로써 생산과 유통이 따로 노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

특히 에너지 전환정책이 제대로 수립되고 이행하려면 송변전 여건을 고려한 계획입지가 필수적인데도 불구하고 정부의 의지는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는 것도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어쨌든 정부와 관계당국은 인프라가 확보되지 못해 전력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불상사가 생기지 않도록 지금부터라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