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대학사회는 속속 지속가능한 기후 전환에 동참
국내대학은 아직 미진, 지금 바로 행동에 나서야 할 때

▲김창환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 홍보위원장
▲김창환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 홍보위원장

[이투뉴스] 2019년도는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뜨거운 한 해를 보내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기후 비상사태(Climate Emergency)’를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 최종 후보 명단에 오른 단어 중에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기후 위기(climate crisis), 기후 행동(climate action), 멸종(extinction), 비행기 덜 타기(flight shame), 지구 가열(global heating) 등의 단어들이 많다. 영국 콜린스 사전도 올해의 단어로 '기후 파업'(climate strike)을 선정했다. 또한 1979년 제네바 세계기후회의 40주년을 기념해 발행된 과학학술지인 바이오 사이언스에서 153개국 1만1000여 명의 과학자들은 인류가 즉각적으로 기후위기에 행동하지 않으면 파멸적 재앙이 닥칠 것이라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지구가 기후위기에 처해 있음이 명백함을 선언한다"면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우리들 삶의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즉 기후위기의 가속화로 인류 공동체가 재앙적 위협(catastrophic threats)에 직면해 있으니 바로 우리 모두가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지구가 기후 위기로 인해 되돌릴 수 없는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를 넘겼을 수도 있다는 일부 과학자들의 경고까지 등장하고 있다.

◆대학사회도 지구적 기후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선도적으로 동참해야 
지속가능한 미래를 담보하는 전 세계 대학도 지구적 기후문제 해결과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앞장서 동참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글로벌 고등교육기관 지속가능발전목표 협약(The SDG Accord)에 참여한 대학들은, 기후 비상사태를 인식하고 더 나은 미래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2030년 혹은 늦어도 2050년까지 대학 캠퍼스의 탄소중립( Carbon Neutral)을 달성해야 한다. 탄소중립이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적인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드는 것이다.

▲글로벌 고등교육기관 지속가능발전목표 협약
▲글로벌 고등교육기관 지속가능발전목표 협약

또한 참여 대학은 앞으로 기후변화에 관한 연구와 이에 대처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기후행동에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해야 한다. 이밖에도 환경 및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대학과 지역사회 프로그램도 늘려나가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현재 글로벌 고등교육기관 지속가능발전목표 협약(The SDG Accord)에는 세계 6대륙 247개 대학 455만9515명의 대학생이 참여하고, 8개 글로벌 대학생 연합체, 57개 고등교육관련 글로벌 네트워크 1만6696개의 기관이 서명했다.(2019년 12월 20일 기준)

대학을 뜻하는 유니버시티(university)는 멀리 고향을 떠나 의지할 데 없고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안전과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베르시타스’(versitas)라는 조합을 만들고, 신학도들은 ‘신학베르시타스’, 법학도들은 ‘법학베르시타스’, 음악도들은 ‘음악베르시타스’ 등의 전공별 조합이 조직되었다. 더 나아가 여러 종류의 조합들이 하나(uni)로 합쳐져 ‘우니-베르시타스’(uni-versitas) 즉 오늘날 대학을 지칭하는 유니버시티(university)가 되었다.

이러한 대학 설립의 배경은 함의적으로 공동의 목적을 지닌 집단을 가리키는 ‘종합’, ‘전체’라는 뜻을 내포하게 되었다. 즉 유니버시티(university)의 어원처럼 작은 사회 살아있는 큰 실험실(SMALL SOCIETY LARGE LIVING LABORATORY)인 대학은 우리 사회의 축소판이다. 또한 대학이 중요한 이유는 전 세계 인구의 3%가 대학에 진학하고, 전 세계 지도층의 80%가 대학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즉 지속가능한 미래를 담보하는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 역할이 대학 본연의 책무이기 때문이다.

◆서울은 세계적 대학의 도시, 대학연합 공동체는 하나의 자치구 수준
세계적 대학의 도시인 서울에는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서울 소재 고등교육기관 수는 88개(일반대학 38개 포함), 제적생수는 97만6008명(일반대학 50만5743명)이다. 또한 재직하고 있는 교원의 수는 2만3753명이다. 더불어 2019학년도 서울대학교 예산액은 8290억원으로, 서울시 자치구 중 가장 많은 예산을 사용하는 강남구 8716억원 보다는 작지만 비슷한 규모의 대학 예산을 집행하고 있다.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 자료에 따르면, 2018년도 서울 소재 대학 전체 전력사용량은 97만1646MWh이고, 이는 2018년 서울시 전체 전력사용량의 2.0%에 해당하고, 강북구(약 33만명) 94만4660MWh 보다 많은 사용량이다. 현재 서울시에는 25개의 자치구가 있다. 하지만 대학의 지역사회에 대한 영향력에서 본다면, 실질적으로 가칭 서울 대학연합 공동체를 포함하여 26개의 자치 단체가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대학도 지구적 난제인 기후문제 해결을 위한 즉각적이고 담대한 기후행동을 학내외에서 요구받고 있다. 또한 대학 스스로도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사회적 책무 이행에 직면해 있다. 하지만 우리 대학은 꾸준히 에너지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지구적 기후 비상사태와 환경재난 문제에 있어 대학의 역할과 책임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 지 알 수가 없다.

2011년 이후 고등교육기관 학생수는 지속적인 감소(누적 35만7313명) 추세이지만, 고등교육기관의 전기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8년도 고등교육기관 전력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력사용량은 395만1550MWh이고, 전기요금은 3906억3800만원이다. 2017년 대비 전력사용량은 6만6036MWh(1.7%) 증가하고, 전기요금은 93억9300만원(2.5%)이 늘어났다.

또한 서울대학교는 서울시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곳이다. 2007년 3만3000toe, 2012년 4만4038toe, 2017년 5만1688toe를 돌파했다. 에너지사용량이 3만toe 진입 이후에 4만toe에 도달하기까지 6년, 5만toe에 도달하기까지 5년이 경과하였고, 1만toe 달성 주기도 빨라지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 대학은 15개로, 대표적인 온실가스배출량 1위 서울대학교(구매량 2만2158톤, 구입액 5억9927만원)와 2위 한국과학기술원(구매량 7600톤, 구입액 2억1189만원)의 2018년 배출권 구매액은 8억원을 초과했다. 서울대학교 홍보팀에서 발행하는 ‘SNU NOW(제147호) 서울대학교 온실가스배출권 과부족 현황 자료‘에 따르면, 2차 계획기간(2018∼2020년)에 온실가스배출권 과부족 구매비용이 최대 20억원(톤당 3만원 적용)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톤당 2만원대에서, 꾸준히 올라 4만원을 돌파했다.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의 급격한 상승으로 기업과 마찬가지로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 대학도 온실가스 감축과 함께 재정적인 부담으로 이중고 고민에 빠졌다. 2019년 12월 20일 국내 탄소배출권 종가는 4만800원이다.

온실가스 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로 기후위기 해결에 앞장서고 있는  해외 대학들의 모범적인 에너지전환 사례와 같이, 우리나라 대학도 지구적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립과 전 구성원의 적극적 행동으로 사회의 요구에 응답해야 한다. 또한 대학공동체(JUST)를 살리고, 대학을 더욱 건강(HEALTHY)하고 지속가능(SUSTAINABLE)한 사회 만들기 활동인 그린캠퍼스(GREEN CAMPUS)가 지역사회와 파트너십을 통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중앙 정부, 지방자치 단체, 기업체와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끝으로 학생들이 “Our future demands action now(우리의 미래를 위해 지금 행동해야 할 때)” and “This is an emergency(비상상황)” 라고 외치며, 136년 전통 하버드-예일대 풋볼 경기를 중단시킨 행동에 대해 하버드대학은 앞으로도 교육, 연구, 지역사회 참여, 혁신적인 온실가스 감축과 함께 대학을 기후변화 해결방안을 실험하고 검증하는 테스트베드로 활용해 대학의 기후 리더십을 발휘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제 우리나라 대학들이 기후 리더십으로 화답해야 할 시간이다.
“Don’t call it change, call it climate emergency(변화라고 부르지 말고, 기후비상이라고 불러라”

김창환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 홍보분과위원장 changhwan1967@daum.net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