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올해부터 3년간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전국에 도입
수질사고 발생 방지 위해 상수도 현황 감시 및 자동으로 관리

[이투뉴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수돗물 수질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국민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올해부터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를 본격 도입한다. 스마트 상수도는 수질·수량·수압 감시 장치, 자동배수설비, 정밀여과장치 등을 설치해 실시간으로 현황 감시 및 자동관리가 가능하다.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는 지난해 5월 인천시 붉은 수돗물 사태에서 드러난 수도시설 관리 전반의 문제를 개선하고, 실시간 수돗물 정보 공개 등으로 수돗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전국을 대상으로 추진한다.

환경부는 전국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구축에 앞서 관련 정책·기술토론회를 1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다. 스마트상수도는 정수장에서 수도꼭지까지 수질·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관리하는 것은 물론 관련 정보를 제공해 수돗물 신뢰를 높인다. 이와 함께 워터코디(가정 방문 수돗물 검사), 워터닥터(옥내배관 진단·세척 서비스) 등으로 소비자에게 맞춤형 수돗물관리 서비스도 제공한다.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구축사업은 2022년까지 총사업비 1조4000억원 규모로 추진한다. 올해 상반기에는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이 먼저 수립될 예정이다. 기본계획 수립 이후 올 하반기부터는 서울, 부산, 광주광역시 등 특·광역시를 포함한 44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우선 도입되며, 2022년까지 전국에 순차적으로 구축된다.

스마트관리 체계가 도입되면 상수도 시설 문제를 사전에 파악하고 신속히 대처해 국민의 수돗물 신뢰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에는 상수도 시설의 사고가 발생하기 전까지 문제를 인지하기가 어려웠다. 현재 스마트관리체계를 시범운영 중인 파주시의 수돗물 직접 음용률(2016년 기준)은 전국 평균 7.2%에 비해 5배 이상 높은 36.3%를 기록하고 있다.

더불어 과다한 예산을 수반하는 노후 상수도관의 교체·개량 중심 행정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체계적인 수돗물 공급과정 관리 강화로 정책의 체계가 전환돼 수도시설 유지·관리비용이 크게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지난해 11월 ‘수도법’ 개정을 통해 수도사업자에 수돗물 공급과정에서의 수질오염방지 의무가 부과되는 점에 발맞춰 수도관 세척시설, 자동배수설비 등의 기반시설을 전국 상수관망에 구축해 보다 체계적으로 수돗물 수질을 관리하도록 했다.

한편 1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정책·기술 토론회’는 관련 업체 등이 참석, 스마트상수도 구축사업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도입을 위한 주요기술별 설계기준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관세척, 정밀여과장치, 공급과정 수질계측기, 지능형(스마트) 관로인식체계, 자동 배수장치(드레인), 지능형 계량기(스마트 미터링) 등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관련 기술에 관심 있는 업체 등은 누구나 이번 토론회에 참여할 수 있다.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이번 정책토론회를 시작으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수돗물을 공급하는 데만 급급했던 과거의 수돗물 관리방식에서 벗어나 깨끗한 물이 각 가정까지 안전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