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신재행 수소융합얼라이언스 추진단 단장
"수소경제·재생에너지 함께 산업 키워야 할 파트너"
"주민수용성, 성숙한 접근과 상호소통으로 해결해야"

▲▲신재행 단장이 앞으로 추진단의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신재행 단장이 앞으로 추진단의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투뉴스] "지난해 수소충전소 준공이 정부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는 의견이 많지만 정부가 부지를 확보하고 착공한 수소충전소 개소를 고려하면 목표에 크게 부족하지 않다. 다만 2022년까지 정부의 목표 수치인 310개소를 구축하려면 민간 충전소가 원활히 운영할 수 있는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가 수소충전소 보급이 예상보다 부진했다는 지적에 대해 신재행 수소융합얼라이언스 추진단 단장은 착공 중인 수소충전소를 기준으로 삼으면 크게 부진하지 않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충전소의 경우 한번 탄력을 받으면 보급이 빠르게 늘어날 수 있다는 게 신 단장의 설명이다.

충전소 보급이 빠르게 늘어나려면 민간 충전소가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의 운영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으로 현재 수소충전소가 운영을 시작하면 바로 적자가 나기 때문에 이를 일부나마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수소충전소 운영을 위해 수소 공급가격을 낮출 수 있는 기술개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소충전소 운영 초기단계를 버틸 수 있는 방안을 정부 및 지자체에서 마련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술개발도 병행해야 한다는 의미다.

신 단장은 “최근 제주도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협약을 맺은 것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 중 잉여 전력을 자체적으로 소비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가 카본프리를 목표로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수소경제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결국 재생에너지와 수소는 서로 상생해야 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수소경제가 중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높아지면서 나오는 잉여 전력을 수소 생산으로 보완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특히 산업을 활성화하고 기술을 개발하려면 대체제가 아닌 상호보완제 개념이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신 단장은 수소경제 제정법 통과 후 정부가 판짜기를 구축해야 되는 만큼 추진단도 원활한 에너지 수급을 위해 수소산업과 연결시킬 수 있는 통계자료도 체계적으로 수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1월 수소경제법 통과 이후 정부도 수소경제 초기시장 형성을 위한 하위법령 제정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수소융합얼라이언스 추진단 역시 이에 맞춰 수소산업 전반의 통계를 수집해 갖추고 수소경제 흐름을 잡을 수 있는 방향을 세워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후 1년이 지난 현재 정부정책 방향에 대해선 “정부가 로드맵 발표 후 수많은 일을 일사분란하게 처리했다”며 “특히 강릉 수소탱크 폭발사고 이후 종합 안전대책을 마련하면서 산업 측면에서만 바라보던 수소경제를 안전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 강화했다”고 평가했다.

이는 현재 수소산업에서 겪고 있는 주민수용성과도 연관된다. 신 단장은 “강릉 사고 이후 국민들이 수소경제의 안전성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울 강서구 수소생산기지 건설이 취소되는 등 우여곡절이 있었다”면서 “인천 연료전지발전소 사례처럼 수용성 확보를 위한 과정에서 성숙한 접근과 소통으로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 정부에서도 홍보를 통해 수소경제로 가야할 필요성을 설명하고 오해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단장은 기후변화 같은 이슈로 수소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진 만큼 수소경제가 활력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했다.

그는 “2000년대 중반에도 수소산업이 거론됐지만 당시엔 기후변화 심각성이나 자원 고갈 등의 문제가 많이 거론되지 않았으며 효율과 기술력 문제로 열기가 꺼졌다”며 “현재는 수소산업의 기술력도 늘어나고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방법 중 하나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국내도 원자력 개발 기술을 선도했던 경험을 토대로 자원 불균형을 해소하고 에너지 자립을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소경제를 주목하고 투자가 늘어나 예전과 흐름이 달라졌다”고 설명했다.

또 수소경제가 단순히 국내 뿐만 아닌 동북아와 글로벌 산업으로 주목 받는 만큼 세계적으로 수소산업 정보를 교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단장은 “중국은 수소궐기 선언 후 수소시장 형성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확보했으며, 일본 역시 도쿄 올림픽에서 수소를 활용한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하고 있다. 이는 결국 수소경제가 우리나라만 이끌고 갈 산업이 아닌 다양한 국가와 협력해야 이룰 수 있는 먹거리산업이며 수소경제 기술을 우리가 선도할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역설했다.

진경남 기자 jin07@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