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하수처리시설은 국민의 건강권과 환경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해 꼭 필요한 시설이다. 지금 전국적으로 하수처리장 건설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대전 하수처리장의 경우, 1조원 가까이 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진행되면서 시민단체들로부터 하수도 민영화 음모라는 비난과 비판을 받고 있고, 성남 하수처리장 이전을 둘러싼 비용과 예산 배분 문제, 음식물류 폐기물 통합 처리 방안 등이 합리적이냐는 문제제기도 많다.

모름지기 과학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고, 정부가 제시하는 최소한의 비용구조는 그야말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에 불과하다. 더 좋은 기술, 더 효율적인 방법, 시민 참여를 통한 예산절감 방안이 실현 가능하다면 담당 공무원들의 열린 자세가 더욱 필요하다. 그들의 의사결정 하나로 그 지역의 시민 생활 인프라가 결정되고, 비용 부담 규모가 결정되고, 시민들의 안전과 건강과 불가피하게 처리해야 할 폐기물의 양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정부 나라 장터 입찰 정보를 살펴보면, 경주시 하수처리장 관련 논란도 그 중 하나다. 작년 5월 공고된 경주 하수슬러지 감량화 사업에 공법 선정을 위한 공고가 있는데, 공무원들의 업무 처리가 합리적이고 공정한지 의문이 든다. 업체들의 참가 등록과 기술제안서 제출일이 휴일 포함 8일에 불과하다. 미리 준비된 업체가 아니면 참여하기 어려운 구조다. 보통의 경우, 참가 등록 후 기술제안서 제출까지 3~4주의 시간을 주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악마는 디테일에 숨어 있다는 말이 있다. 다행히 우여곡절 끝에 지난 1월 14일 공고된 내용에는 참가 등록 후 기술제안서 작업에 4주 정도의 시간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최소한의 불공정성은 해소된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다양한 우려와 문제점들이 잠복해 있다.

현재 우리나라 전국의 크고 작은 공공 하수처리시설은 4114개소에 달하고, 이 중 75곳이 하수처리장에서 시설용량 이상으로 하수가 들어오고 있어 가동률이 100%가 넘고 있는 상황이다. 그만큼 하수의 양도 문제고, 하수슬러지의 독성과 발생량도 문제다. 경주시 사례를 통해 확인되는 슬러지 감량화 방법은 기술적 안전성이 가장 중요하다. 국내외 사례를 종합해 안정적 기술 보증이 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악취와 냄새를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시민들도 만족하고 예산이 제대로 사용되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검증 정보들은 간단히 인터넷 검색만 해봐도 확인되며, 사전 점검이 가능하다. 최근 들어 하수처리장은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재생에너지 산실(産室)로서의 기능을 한다. 에너지 생산과 에너지자립, 에너지 효율화 측면도 공법 선정에서 종합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하수처리장이 하수와 하수슬러지만 처리하는 좁은 시각에서 벗어나 냄새와 악취 제거는 기본이고, 에너지도 생산하고,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도 저감하는 새로운 차원의 하수처리장으로 거듭나야 한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