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에너지硏, 소각 방치되는 농산부산물 재생에너지로 정부지원 필요

[이투뉴스]  볏짚, 왕겨 등 농업잔재물에서 나오는 바이오매스가 원자력발전소 1기 수준의 에너지잠재력을 갖추고 있어 이를 활용하기 위한 정부 차원이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녹색에너지연구원은 최근 농업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방안 마련 및 에너지화 잠재력이 높은 농업 바이오매스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과 제도를 담은 ‘농업 바이오매스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보고서를 내놨다.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2030년 배출전망치 대비 온실가스를 37% 감축해야 하는 것은 물론 2030년까지 신재생 발전비중 20% 달성을 위해선 바이오에너지 보급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농업 바이오매스 재생에너지 활용에 관한 정책이나 제도는 부재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농업 바이오매스 26개의 이론적 에너지잠재량이 원자력발전소 1기 수준인 147만1722toe에 달한다고 예측했다. 이는 펠릿과 같은 고체연료로 전환했을 때 2018년 목재펠릿 전체 공급량을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특히 높은 생산량을 가진 볏짚, 왕겨, 고추줄기, 사과전정가지 등의 가용에너지잠재량을 활용하면 140만~260만tCO2eq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030년 농축산 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 160만tCO2eq를 모두 충당할 수 있는 양이다.

보고서는 농산 부산물이 흔히 사료, 퇴비, 토양환원, 피복용으로 활용되며 소각 및 방치되는 비율이 높아 환경문제 해결과 경제효과를 위해 에너지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설명이다.

농업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은 크게 펠릿, 칩 등의 고체연료화와 바이오에탄올로 나뉜다. 고체연료화 기술은 상용가능하지만 화석연료 대체, REC 부여, CO2 감축사업에 따른 지원과 같은 간접편익 없이는 경제성이 낮다. 여기에 바이오에탄올은 비싼 효소가격으로 인해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농업 바이오매스 에너지화는 온실가스 감축, 높은 인력창출 효과, 바이오매스 분산발전 도입 가능 등의 긍정적 영향이 있지만 재배면적당 낮은 에너지 생산량, REC 제도 도입시 수입산 사용에 대한 대처 방안 부재, 공급안정성 부족 등의 우려사항이 상존하고 있다. 이는 현재 정부의 농업 바이오매스 에너지활용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연구원은 국내 환경에 적합한 농업 바이오매스 활용, 바이오에너지 육성정책과 지자체 및 주민참여형 정책, 미이용 및 신규 바이오매스 자원활용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태영 녹색에너지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농업용 바이오매스의 이론적인 에너지잠재량은 원자력발전소 1기 수준에 달하며 에너지화가 이뤄지면 온실가스감축 등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며 “수거·운송 및 바이오매스 관리체계를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진오 기자 kj123@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