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2034년까지 우리나라 전력수급의 기초가 될 제 9차 전력수급계획의 방향이 최근 나왔다. 9차 전력수급계획 수립 자문기구인 워킹그룹 총괄분과위원회는 2034년까지 원전을 8기, 석탄화력은 19기를 각각 줄이는 안을 제시했다.

워킹그룹 안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원전의 신규 건설을 하지 않고 수명이 끝난 원전은 폐로 시키고 석탄화력도 2034년까지 30년 운영연한이 도래하는 19기를 순차적으로 폐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원자력발전은 2024년 26기로 정점을 찍은 다음 점진적으로 감소해 2034년에는 17기까지 줄인다.

즉 수명이 만료된 원전을 수명 연장 또는 계속 운전 등 방법으로 추가 가동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폐지함으로써 탈원전이 아닌 감원전을 유지해나갈 방침이다. 현재 건설 중인 신고리 5,6호기와 신한울 1,2호기 등 4기를 포함하고 폐지원전을 감안하면 원자력발전은 현재보다 8기, 5.3GW가 감소한다.

석탄화력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남부발전 하동 1~4호기, 동서발전 1~4호기 등 2000년대 초반 한전 발전자회사들이 건설한 500MW급 초임계 발전소들을 폐지함으로써 올해 56기 34.7GW인 석탄화력 설비량을 2034년 37기 29.0GW로 5.7GW 축소시킨다.

따라서 전원별 설비 비중은 원전이 올해 19.2%에서 2034년 9.9%로, 석탄발전은 27.1%에서 14.9%로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진다. 반면에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15.1%에서 40.0%로 확대되며 LNG는 32.3%에서 31.0%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며 수급안정을 확보하는 역할을 맡는다.

석탄발전의 감축 등으로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BAU 대비(3억3000만톤) 42.2% 줄인 1억9300만톤으로 맞춘다는 계획이다.

워킹그룹 안은 정부가 그동안 천명해온 원전의 점진적 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인 석탄화력의 감축 등 큰 틀을 유지한 것으로 비교적 현실적인 선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처럼 원전과 석탄이 담당해온 기저부하의 비중이 현재 46.3%에서 절반 수준인 24.8%로 줄고 반대로 LNG와 신재생이 53.7%에서 75.1%로 증가함으로써 파생될 문제는 생각보다 간단치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원전과 석탄화력의 경우 공급 안정성이 보장되는 반면 신재생에너지는 간헐성이 크기 때문에 이같은 수요 변동성을 어떻게 조정하고 처리해야 하는지가 큰 과제로 등장한 것이다. 벌써부터 재생에너지 비중이 늘어나면서 원전과 석탄화력의 발전량을 조절하는 것이 현안으로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꾸어 말하면 지금까지 전력수급의 문제는 양적 차원에서 접근됐으나 앞으로는 경직성 전원 비중이 커지는 등 수급조절이 더 중요해진다는 얘기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