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으로 원료 수집체계 개편 및 규격화 필요

[이투뉴스] 정부가 중유발전소를 폐기하기보다는 바이오중유와 같은 환경친화적 연료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는 배정환 전남대 경제학부 교수에 의뢰해 수행한 ‘전원믹스내 바이오연료 비중확대방안 검토’ 보고서를 공개했다.

현재 산업부는 2018년부터 2036년까지 16기, 3498MW의 중유발전기를 폐지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보고서는 이들 중유발전소를 폐기하기보다는 바이오에너지로 유지하는 것을 제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태양광·풍력 설비확대 중심인 현재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은 간헐성 자원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화력·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기저부하를 대체할 수 없다. 반면 우드펠릿, 우드칩, SRF, 바이오중유 등 바이오연료 혼소·전소 발전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해 기저부하용으로 적합하다.

또 기존 중유발전소를 폐기할 경우 매몰비용뿐 아니라 LNG복합 등 대체시설 건설에 따른 추가비용이 발생하기 떄문에 환경친화적 연료로 전환으로 기존 시설을 이용하는 정책을 검토해야 한다는 것.

보고서는 정부가 태양광·풍력만으로 신재생에너지 확대 목표를 달성하려고 한다면 ▶부지확보 어려움 ▶송배전망 문제 ▶지역주민과의 갈등 ▶지역환경 파괴 ▶난개발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리라고 예측했다.

다만 국산원료로 쓰이는 바이오디젤 부산물, 음폐유, 동물성 유지 등이 전체원료공급에서 30% 밖에 차지하지 못하는 점을 감안해, 기반시설에 대한 정부지원으로 수집체계를 개편하는 것으로 국산원료의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펼쳤다. 또 환경부와의 협의를 통해 바이오연료 등급화 및 규격화를 추진하고, 폐기물 에너지화를 통해 처리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 에너지 생산량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를 작성한 배정환 교수는 “기존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신규 전력계통 허가의 어려움, 발전소 부지 확보 문제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한 상황”이라며 “반면 바이오연료 발전은 기존 발전소를 이용하거나 난개발 가능성이 적어 상대적으로 갈등소지가 적다”고 말했다.

김진오 기자 kj123@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