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에너지조합, 소각·매립업체로 오인 등 억울함 호소
“정부·언론, 폐기물 처리업체 아닌 재활용업체로 명기 필요”

[이투뉴스] 최근 잇달아 발생하고 있는 폐기물 처리업체의 화재가 대부분 재활용업체 사고임에도 불구하고 원인자가 소각·매립업체로 오인 받고 있어 정부 및 언론 발표·보도 시 정확한 업종 구분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이사장 박무웅)과 한국산업폐기물매립협회(회장 이민석)는 2013년 1월부터 2020년 7월까지 ‘폐기물처리업체 사고 발생 현황’을 자체 조사한 결과 모두 180건의 화재, 안전사고, 폭발, 붕괴 사고 등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사고 중 88% 달하는 158건이 재활용 업체에서 발생했으며, 특히 156건의 화재사고 중 138건이 재활용 업체에서 발생하는 등 비중이 높았다.

조사 결과에 대해 폐기물에너지조합과 매립협회는 폐기물 소각·매립업체는 법적 의무사항인 사업장 내 CCTV 설치와 자체 화재 감시로 사고 위험이 극히 낮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관에 공익사업을 명문화하는 등 방치 폐기물 및 재난·재해 폐기물 처리에 앞장서고 있지만, 폐기물 화재의 주요 원인자로 매도당하는 상황이 안타깝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에 따라 양 단체는 향후 정부와 언론에서 ‘폐기물 처리업체’ 관련 사고내용을 발표할 때 반드시 해당 업종을 정확하게 구분해 발표해 줄 것을 건의했다. 대부분의 폐기물 사고가 재활용 업체에서 발생하는 상황이고, 특히 화재의 경우 정부와 언론이 정확하게 발표·보도해야만 민간 소각·매립업계가 사고 원인자로 지목받는 오해를 해소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폐기물 재활용업체 화재 현장.
▲폐기물 재활용업체 화재 현장.

양 단체가 그동안 언론에 보도된 폐기물 처리업체 사고현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폐기물 처리업체 사고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활용 업체의 화재원인은 관리자 부재로 인한 화재가 가장 많았다. 이어 수요부족 및 처리비용 절감 등의 이유로 인한 고의화재, 장기 적치폐기물의 축열로 인한 자연발화 등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민간 소각업체는 24시간 상주 인력을 배치해 소각시설을 가동하고 있는 것은 물론 CCTV 및 화재진압 장비가 설치돼 화재발생 시 실시간으로 대응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또 실제 사고사례 조사에서도 소각·매립업체 사고발생 비율은 재활용업체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는 것이다.

폐기물업계는 재활용 폐기물이 쌓인 창고에 화재가 발생하면 유해물질 배출로 심각한 환경문제가 발생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폐기물의 경우 방치 등 관리 소홀도 문제가 크지만 화재발생 시 인근 주민들의 건강 및 대기환경 훼손 등 2차 피해가 크다는 점을 들어 재활용업체의 사업장 관리가 더욱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박무웅 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 이사장은 “폐기물로 인한 사고 및 화재 발생이 대부분 재활용업체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정부와 언론에서는 사고업체가 재활용 업체인지 소각·매립 업체인지 구분 없이 ‘폐기물 처리업체’로만 발표하고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그는 이어 “폐기물 처리업체하면 소각장과 매립장을 먼저 떠올리는 인식 때문에 우리가 원인자 취급을 받고 있는 만큼 해당업종을 명확히 알림으로써 양질의 자원순환에너지를 생산하는 업체가 오해받는 일이 없도록 해줄 것”을 당부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