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 및 열생산 등 에너지부문의 증가 여부가 온실가스배출량 좌우
국가온실가스통계위원회, 2018년 배출량 확정-2019년 추정치 공개

[이투뉴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8년에는 전년대비 2.5% 증가한 반면 작년에는 오히려 3.4%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 및 열생산량 감소와 함께 미세먼지 저감에 따른 석탄발전량 감소,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 등이 영향을 끼친 것이란 분석이다.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홍동곤)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위원장 환경부 차관)’ 심의를 통해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근 확정했다. 더불어 올해 처음으로 2019년 잠정 배출량(추정)도 함께 공개했다.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7년 대비 2.5% 증가한 것으로 최종 확정됐으며, 2019년 배출량(잠정)은 2018년 대비 3.4%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먼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발전·열생산, 화학, 중전기기, 반도체·액정 부문의 배출량 증가로 2017년 7억970만톤 대비 1790만톤 증가(2.5%)한 7억2760만톤으로 나타났다.

발전 및 열생산 부문은 전력수요 증가에 따른 천연가스 발전량 증가(24.6%)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1700만톤(6.7%) 증가했다.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 1790만톤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실제 발전량은 2017년 553.5TWh에서 2018년에는 570.6TWh로 3.1% 늘었다.

제조업·건설업 배출량은 2017년 대비 5만톤 증가(0.03%)에 그쳤다. 세부 부문별로는 화학에서 533만톤 증가(13.1%)했고, 철강 416만톤(4.2%)과 제조·건설업·기타 부문은 161만톤(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부문 배출량은 기초유분 생산량 증가에 따라 2017년 대비 533만톤(13.1%) 증가했다. 철강부문 배출량은 유연탄 소비량 감소에 따라 2017년 대비 416만톤(4.2%) 감소했다. 수송부문은 국제 유가 및 국내 유류 판매가 상승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23만톤(0.2%) 소폭 감소했다.

기타(상업·공공·가정 등)부문 역시 유가상승의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대비 소폭(0.2%) 감소했다. 반면 육불화황(SF6) 등 불소계 온실가스 소비 부문은 중전기기와 반도체·액정부문 위주로 2017년 대비 260만톤(14.1%) 증가했다.

이번에 확정된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는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국제사회에 제출되는 국가승인 통계로서 국내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립에 활용된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7억280만톤으로 2018년 7억2760만톤보다 2490만톤(3.4%)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배출량 감소는 발전 및 열생산 부문 배출량(1960만톤 감소)과 기타(상업·공공·가정 등)에서도 210만톤이 감소하면서 영향을 끼친 것이란 분석이다.

2018년 대비 발전·열생산 부문 감소량 1960만톤(7.3%)은 총발전량 감소(1.3%),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석탄 발전량 감소(4.8%), 신재생에너지 발전량(6.3%) 증가 등이 주된 요인으로 추정된다.

또 상업·공공·가정 등 기타부문은 따듯한 기온으로 난방용 연료 소비가 2018년 대비 210만톤(4.0%)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송 부문은 유류가격 하락으로 2018년 대비 170만톤 증가(1.8%)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의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 총생산액 또는 인구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살펴보면, GDP 10억원당 배출량은 380톤으로 나타나 온실가스 통계를 작성하는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인당 배출량’은 13.6톤으로 2018년 대비 3.6% 감소한 것으로 전망했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2019년 10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에 따라 2019년부터 온실가스 잠정치를 추정하고, 관련 부처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정책 평가에 활용할 계획이다.

한편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자료는 9월 29일부터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누리집(www.gi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