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관계자 "송배전체계등 구조적 문제가 더 심각"

2002년 태풍 루사 등의 수해로 피해가 심했던 북한의 수력발전 설비가 일부 정상화를 되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수량 변화에 따른 발전량의 기복현상과 원거리 송배전 기술부족으로 북한의 전력난은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4일 통일부 남북경제협력국과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자료에 의하면 북한은 전체 전력의 60%를 수력발전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태풍과 홍수로 손실된 발전설비를 보수할 자금조차 없어 그간 전력생산을 정상화하지 못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북한은 최근 <조선신보>등의 기획기사를 통해 “1990년대 후반 경제전반이 하강선을 긋게 된 것은 선행부문이 침체상태에 빠졌기 때문” 이라며 “자연재해의 영향으로 수력발전소들에서는 전력생산을 정상화하지 못하였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 신문은 “2001년부터 경제전반을 상승궤도에 올려 세우기 위한 대책들이 강구되고 집행됐다”고 언급하면서 “전력공업부문에서는 발전소들의 설비들을 보수하고 기술혁신과 개건현대화로 현존 설비의 발전능력을 대폭 끌어올렸다”며 호전된 전력상황을 전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 남북경제협력국 관계자는 “발전량의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송배전설비가 워낙 노후화 돼 있고 누전 등에 의한 손실이 커서 큰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단기적으론 전력생산량이 호전되겠지만 기본 인프라가 뒷받침되지 않아 큰 효력을 기대할 수 없다는 얘기다.

 

통일부 내부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수력발전소는 80만kW의 수풍발전소를 비롯해 운봉, 서두수, 허천강, 장진강, 강계청년, 부전강, 대동강, 태평만, 위원, 태천발전소 등이 있다. 이중 수풍, 운봉, 태평만, 위원 등의 발전소는 중국과 공동 관리되고 있다.

 

북한은 1980년대까지 수력발전소 건설을 활발히 전개했으나, 1990년대 들어 투자재원 조달에 어려움을 겪어 건설추진이 급속도로 둔화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북한은 1990년대 중반부터 건설비용이 적고 기간이 짧은 1만kw급 중소형 발전소 건설을 추진해 2002년까지 총 7780여개의 발전소를 완공했다. 그러나 이들 발전소는 용량이 워낙 작은데다 갈수기 등의 계절적 변화에 민감해 전력 증산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 남북경협 2팀의 한 관계자는 “그나마 요즘 같은 여름은 전력이 잘 나온다고 하지만 겨울이나 갈수기 때 물이 흐르지 않아 매년 전력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2002년말 현재 북한의 전력설비용량은 총 777만kW다. 이중 수력발전이 463만 7000kW를 차지하고 있으며, 화력발전이 295만kW, 중소형 발전소가 나머지 설비를 맡고 있다.

 

그러나 산림 황폐화로 수자원이 감소하고 있는데다 기존 수력발전소 설비가 점차 노후화되면서 가동률은 크게 개선되고 있지 않다. 게다가 북한의 전력난은 생산량의 문제와 함께 송배전 체계상의 구조적인 문제가 더 심각하다는 지적이 설득력있게 들려오고 있다.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북한의 근본적인 전력문제는 발전설비 문제에 앞서 송배전설비의 노후화에 따른 총체적 문제"라며 "발전설비 보수를 통해 전력공급이 나아지더라도 송배전체계가 불합리해 누전율이 높고 전압이 고르지 못해 양적, 질적으로 뒤떨어져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북한 전력문제는 이처럼 구조적 문제로 송배전체계 상의 개선이 이뤄지기 전에 전력사정이 나아지길 기대할 수 없다"며 "앞으로도 상당기간 이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평안남도 수해와 관련 일부 댐이 유실된 것은 사실로 전해지고 있으며, 이들 댐은 전력공급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관계자들은 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