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유지 위한 적정주유소 13곳에 불과…LPG충전소는 소멸 위기
용지지목변경 허용 및 세금감면, 토양오염정화비용 지원 등 필요

[이투뉴스] 제주도 카본프리 아일랜드(CFI) 계획으로 전기차 보급 진흥책이 본격적으로 이뤄짐에 따라 향후 주유소와 LPG충전소 매출이 대폭 감소하는 등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것이란 연구가 나왔다. 여기에 제주도가 머잖아 내연기관차 운행 및 도입을 제한하는 규제정책까지 펼칠 경우 180개소 가량의 주유소가 사라져야 할 지 모른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최근 ‘제주지역 전기차 보급확산에 따른 기존산업과 상생협력 실행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CFI정책은 온실가스는 배출하지 않으면서 제주도의 혁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것으로 신재생에너지·전기차 육성·에너지 수요관리·에너지 융복합신산업 선도 등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특히 2030년까지 기존 내연기관차 37만대를 전기차로 교체하겠다는 야심찬 계획도 포함돼 있다.

보고서는 CFI정책을 지속하는 CFI시나리오와 정책이 중단됐을 때를 가정한 BAU시나리오를 기반으로 2017년부터 2030년까지의 도내 주유소 평균매출액 및 영업이익을 추산했다.

BAU시나리오에서 2030년 주유소 평균매출액은 41억6580만원이고 영업이익은 1억3760만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CFI시나리오 매출액은 19억1430만원, 영업이익은 6320만원으로 전망됐다. CFI를 지속할 경우 10년 뒤 주유소 매출액은 22억5150만원, 영업이익은 7440만원 줄어들어 피해손실률 54.0%를 기록하는 셈이다.

LPG충전소의 매출감소도 큰 것으로 예측됐다. BAU시나리오에서 2030년 LPG충전소 평균매출액은 37억4860만원, 영업이익은 1억1680만원이다. CFI시나리오에 따른 매출액은 16억3440만원, 영업이익 5090만원으로 10년 후 매출액 21억1420만원 및 영업이익 6590만원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피해손실률은 65.9%에 이른다.

보고서는 주유소 수와 남는 내연자동차 숫자와의 상호관계로 인해 제주도 주유소 적정규모(2017년 개소당 평균매출 달성)는 2030년 기준 13개소만 남아야 한다고 분석했다. 2019년 기준 193개소인 도내 주유소가 10년 뒤에 180개소 가량이 사라져야 한다는 의미다. LPG충전소의 경우는 더 심각하다. 2030년 LPG충전소가 매출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개소는 0개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현재 39개소인 LPG충전소가 모두 사라지는 셈이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주유소·LPG충전소와의 단기·중기·장기 상생방안을 강구했다. 단기적으로는 주유소 및 LPG충전소 용지의 지목변경 편의를 제공하고 세차업에 필요한 정화시설설치 허가와 그에 필요한 지원을 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지목변경 처리기간 단축은 제주도지사의 재량권 내에 있으므로 즉각적인 시행이 가능하고, 정화시설설치 허가 역시 도가 지원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중기적으로는 용지지목을 변경할 때 지방세 감면혜택을 제공하고 장기적으로는 타사업으로의 전환부담 경감을 위한 오염토양 정화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협약내용 및 지원방안은 향후 설립될 '수송부문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민관협의회(가칭)'를 통해 결정할 것을 제안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제주도내 기존 주유소 사업자들과의 상생·발전을 위한 협력방안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종합적, 구체적, 합리적인 지원방안을 도출해야 한다”며 “폐업 및 업종전환을 원하는 주유소를 지원하기 위해 가장 큰 장애물인 토양오염 정화비용을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오 기자 kj123@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