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바이오디젤 국산화율 30%…신규원료 확보 필요
곤충 원료가 토지이용률 높고 CO2 배출은 낮아 적합

[이투뉴스]  팜유 및 폐식용유 등을 주로 사용해 국산화율이 높지 않은 국내 바이오디젤을 곤충 원료로 바꾸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짧은 생활사, 높은 산란율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곤충이 고불포화 지방산 등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원료소재로써 매우 우수하기 때문이다.

한국석유관리원 석유기술연구소는 '곤충자원 활용 바이오디젤 생산 연구보고서'를 작성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에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바이오디젤 원료는 수입 팜유 및 팜 부산물과 국내 폐식용유가 대부분으로, 국산화율은 지난해 기준 30% 수준에 불과해 새로운 국산원료를 찾아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세계 바이오디젤 보급량은 2005년 430만톤에 불과했으나 2008년 1000만톤, 2011년 2000만톤을 넘어섰고 지난해 3640만톤을 기록하는 등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고 있다. 특히 EU의 바이오디젤 소비량이 두드러져 2015년 기준 전세계 소비량의 65%에 육박한다.

현재 바이오디젤 원료는 기존의 식용원료에서 비식용원료로 전환하는 추세에 있다. 1세대 원료가 콩, 카놀라, 유채씨앗 등에서 추출한 식용유를 원료로 한다면 2세대는 낙엽수의 일종인 자트로파씨앗, 폐식용유, 동물성 기름 등 비식용유로 이동했다. 3세대는 비식용이면서 온실가스 절감이 가능한  미세조류 및 하수슬러지 등으로 옮겨가는 모습을 보이는 중이다.

이처럼 바이오디젤 원료전환이 진행되는 시점에서 석유관리원은 곤충 지질에 주목했다. 짧은 생활사, 높은 산란율, 높은 토지이용률, 낮은 CO2 배출, 연중 대량생산 가능, 고불포화 지방산 등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원료소재로써 매우 우수하기 때문이다. 특히 평균 30%에서 최대 77%에 이르는 높은 지질함량은 바이오디젤 생산에 최적화된 특성을 갖추고 있다고 분석했다.

고단백질 곤충분말을 가축 및 양어 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질제거가 필수적이며, 이때 분리된 지질은 바이오매스 원료로 저가공급할 수 있다는 점도 유용하다.

석유관리원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산업화 유망 곤충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지질함량이 증가된 곤충으로부터 지질을 최대한 분리할 수 있는 기계장치 개발과 곤충지질을 고품질의 바이오디젤로 전환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또 곤충유래 바이오디젤의 경제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질추출 후 곤충부산물을 이용한 천연방부제 및 양어용 사료를 개발하고 있다.

관리원은 곤충이용 바이오디젤의 검증을 위해 ▶성능·안전 ▶표준화 ▶유통·품질관리 ▶환경이라는 네가지 수순을 준비하고 있다. 차량·보일러, 주유소·충전소 등 바이오디젤이 이용될 시설의 설비안전 문제를 사전점검하고, 생산·유통기준 및 시험방법을 표준화해 KS인증을 받을 계획이다. 또 저품질, 불법혼입 등 품질문제 해결과 배출가스 등 대기환경 문제 해결이라는 과제도 수행 중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석유관리원은 실험실규모의 연구에서 곤충 유래 바이오디젤이 국내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했고 적정 시험방법과 국내 관련법을 검토하고 있다. 향후 실증단계에서 원료 수급방안을 검토하고 원료 대량생산 실증 및 차량영향성 평가 등을 끝마치면 본격적으로 상용보급에 나설 예정이다.

보고서에선 곤충자원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거점단지를 조성하고 시범사업과 상용사업을 거쳐 바이오디젤을 중심으로 한 사료·약용·학습·애완 등 연관산업을 구축하자고 제언했다. 관리원은 농식품부를 중심으로 농가·영농조합, 석유관리원, 바이오디젤 생산사가 함께 곤충자원 활성화 거점단지를 구축한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석유관리원은 "동애등에 지질은 지방산 함량, 인화점 등에서 높은 품질을 기록했다"며 "다만 바이오디젤 활용여부는 실험실 수준 확인에서 끝났기 때문에 자동차 영향에 대해서는 추가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바이오디젤 업계 관계자는 “곤충 이용 바이오디젤 실증은 사료용 등에에서 짜낸 지질을 활용할 방법을 강구하기 위해 추진됐다”며 “충분히 사업성 있다는 것이 입증된 만큼 바이오디젤 거점단지가 구축된다면 앞으로 많은 사업참여와 발전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오 기자 kj123@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