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서 위축된 사업 속속 재부활 전성기 예고

[이투뉴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자국 해상풍력 산업을 의욕적으로 육성할 태세다. 미국 정부는 최근 해상풍력을 2030년까지 30GW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담화문에서 "수백~수천기의 해상풍력 터빈을 설치해 약 1000만 가구에 친환경 전력을 공급할 것"이라며 에너지전환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그는 "해상풍력 사업을 통해 수천개 일자리를 창출하고, 수십억 달러의 투자를 끌어내겠다"고도 했다. 

미국 에너지부와 내무부, 상무부는 아직 걸음마 단계인 해상풍력 산업을 키우기 위해 환경영향평가와 인허가 기간을 단축할 방침이다. 아울러 미 동부 뉴저지주와 뉴욕 롱아일랜드 사이 뉴욕바이트 해상을 해상풍력 발전지구로 지정했다.

미 정부는 이곳 풍력발전 단지 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에 30억 달러 규모의 연방 대출을 지원하고, 항만 개선 사업에 2억3000만 달러를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인프라 투자 계획 중 1000억 달러를 해상에서 전력수요지까지 연결하는 20GW급 초고압 송전망 사업에 배정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백악관은 해상 풍력 발전 사업으로 연간 120억 달러의 자본 투자를 유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2030년까지 해상풍력 산업에서 4만4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연관 산업에서 3만3000개 일자리를 동원할 것으로 예측했다.

현재 미국의 해상풍력은 유럽 등 다른 나라들에 비해 한참 뒤떨어져 있다.  

미국의 첫 번째 해상풍력인 30MW급 블록 아일랜드 풍력단지는 2016년 말 처음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반면 세계 최초 해상풍력인 덴마크 발전단지는 1991년 문을 열었다.

윈드유럽(WindEurope)은 현재 유럽 해상풍력 용량을 25GW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 비해 미국의 해상 풍력은 42MW에 불과하다. 현재 미국에는 2개의 해상풍력 발전소가 운영되고 있다.

블록 아일랜드 사업에 터빈 4기, 버지니아 해상에 터빈 3기가 각각 운영되고 있는데, 전폭적인 정부 보조금을 받았음에도 완공까지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연방 정부가 10년 넘게 해상풍력 사업을 경매에 부쳤으나 낙찰자가 쉽게 나타나지 않았고, 인허가에만 수년이 걸렸다.

경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지역 주민들의 건설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빈야드 사업은 미국내 최초 상업규모 해상풍력 사업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당시 트럼프 행정부 해양 에너지 관리국에서 사업을 중단시켜 건설에 차질이 빚어졌다.

담당 개발사인 아반그리드는 풍력발전기가 해상 생태계에 미치는 누적 영향까지 소명해야만 했다. 현재까지 해상풍력이 해양 생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그러다 지난달 초 바이든 행정부가 빈야드 풍력사업에 대한 환경성 검토를 끝냈으며, 사업을 재개시켰다. 이에 따라 아반그리드는 2023년 말까지 메사추세츠 주 마서즈 빈야드 인근 해상에 터빈 62기를 세운다는 계획을 다시 재개했다. 

이퀴노르는 미국 롱아일랜드 해상에서 2개의 대형 풍력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0개 터빈으로 구성된 2GW 규모다. 메사추세츠 해안에서는 1GW 규모로 또다른 프로젝트를 벌이고 있다. 두 사업 모두 허가절차를 밟고 있으며, 케이블 선박 CLV 넥산 오로라와 계약도 맺었다.

도미니언 에너지사는 버지니아 해안에서 터빈 2기로 12MW급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고 추가 터빈 설치를 위한 선박을 주문한 상태다.

로얄 더치셸과 프랑스 전기회사 EDF의 합작사인 아틀란틱 쇼어스 오프쇼어는 3GW 생산을 목표로 2019년 아틀란틱 시티 인근에 18만 에이커 규모 해상풍력 부지를 임대 계약했다. 이를 위해 뉴저지 당국은 조류와 거북이, 해양 생물이 받는 영향에 관한 환경평가를 수행했다.

재생에너지 옹호단체인 ACRE의 조지 웻스톤 회장은 “백악관이 초기 단계인 해상풍력을 돕는 구체적 정책을 내놓아 매우 기대하고 있다”며 “해상풍력은 미국에서 앞으로 크게 성장할 산업이다.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가 경제 발전에 도움이 주고 수천만개 고액 일자리를 창줄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jo@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