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열병합, 30년 된 노후설비 개체 위해 집단에너지 변경허가
지역주민 “과도한 발전용량 증설 등 대기오염 우려” 집단 반발

[이투뉴스] 노후 보일러를 사용하던 집단에너지사업자의 친환경설비 개체 추진이 잇따르고 있다. 울산 한주에 이어 대전열병합발전도 노후설비 개체를 위해 500MW급 LNG 복합발전소 건설에 나섰다. 하지만 시작도하기 전에 민원이 쏟아지고 있어 필수에너지시설인 열병합발전소 확충에 차질을 빚을 조짐도 보인다.

지역난방+산업단지를 같이 하는 병행 집단에너지업체인 대전열병합발전은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에 집단에너지 변경허가를 신청했다. 기존 113.15MW이던 발전기를 495MW 수준으로 개체·증설하는 내용이다. 현재 가동되는 12.3MW 규모의 연료전지는 별도로, 전체 열공급용량은 기존과 큰 차이(535.3→536.7Gcak/h)가 없다.

대전열병합발전의 변경허가 신청은 준공한 지 25년이 넘는 등 메인 생산설비가 낡아 공급안정 및 효율개선을 위해선 불가피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당초 벙커C유를 기반으로 설계·제작(이후 LNG 및 LPG 겸용으로 전환)돼 오염물질 배출량이 많고 발전효율이 낮다는 점도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대전열병합 측은 에너지이용효율을 높이고 열 생산단가도 대폭 낮출 수 있는 고효율 열병합발전소를 신설한 후 기존 벙커C유 및 LPG를 사용하던 보일러 3기와 발전시설을 폐지한다는 계획이다.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기존 2기의 보일러는 백업용(PLB)으로 활용한다.

대전열병합발전은 친환경설비 개체와 관련 연내 허가를 득한 이후 환경영향평가(1년가량 소요)를 거쳐 내년쯤 EPC 사업자 선정 및 실시설계 등에 나설 계획이다. 이후 2023년 공사에 착공, 2026년 6월 준공한다는 목표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 설비는 30년 전 벙커C유 사용을 전제로 설계된 설비라 노후화가 심할 뿐더러 환경기준을 맞추는데도 한계가 있다”며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5만 세대에 대한 난방 및 23개 산단 입주업체에 치명타가 될 수 있어 개체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대전열병합발전이 집단에너지 변경허가를 신청한 495MW 규모의 LNG 열병합발전소 조감도.
▲대전열병합발전이 집단에너지 변경허가를 신청한 495MW 규모의 LNG 열병합발전소 조감도.

이러한 열병합발전소 개체(증설) 계획이 알려지자 일부 환경단체와 지역주민들은 일제히 반대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들은 왜 발전소를 도심과 멀지 않은 곳에 세우려 하는지와 함께 발전용량이 기존보다 4배 이상 늘어난다는 점을 집중 성토했다.

하지만 지역 일각에선 변경허가를 제출하자마자 집단민원이 쏟아지는데 대해 님비현상 외에도 대전지역의 에너지공급방식을 둘러싼 경쟁구도가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과거 대전열병합발전이 LPG로의 연료교체를 추진할 당시에도 위험성을 이유로 많은 민원이 발생하는 등 마찰이 잦았기 때문이다.

대전열병합발전 측은 이같은 집단민원에 대해 친환경에너지를 연료로 사용하는 열병합발전소로 설비를 개체하면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오히려 줄일 수 있다며 주민설득에 나섰다. 특히 미세먼지 원인물질로 알려진 질소산화물의 경우 현 설비 배출기준이 40ppm인 반면 최신 환경기준은 10ppm, 실제 운영단계에서는 5ppm 이하까지 낮출 수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발전용량이 과도하게 늘어난다는 지적에 대해선 최근 가스터빈의 기술진보 추세와 함께 경제성을 이유로 들었다. 최신 발전설비의 경우 전력생산을 더 치중하는 경향이 있어, 열공급능력을 맞추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 CHP 용량이 크게 늘더라도 열생산능력은 시간당 367.9Gcal에서 303.6Gcal로 오히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기존 설비(보일러+스팀터빈)를 단순히 재설치할 경우 IRR(투자수익률)이 마이너스 6.7%로 사업성이 전혀 나오지 않는 것은 물론 300MW급을  설치하더라도 경제성이 낮아 어렵다는 점도 강조했다. 결국 급전지시를 받을 수 있고, 경쟁력 있는 열원 생산을 위해선 최소 500MW급이 불가피하다고 역설했다.

집단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집단에너지는 높은 에너지이용효율을 통해 많은 개별보일러나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을 확 줄이는 효과가 있는 만큼 지역 전체적으로 환경개선은 물론 온실가스 감축에도 유리한 공급방식”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발전용량을 키우지 않으면 안정적인 열공급은 물론 경쟁력 약화로 사업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실정에 대해서도 주민들이 감안해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