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송부문이 석유소비 절반 이상 소진 / 휘발유 가격탄력도는 전국 평균 1.95배

국제유가가 배럴당 150달러에 근접하면서 수도 서울에 비상이 걸렸다. 수송부문의 에너지 소비가 높은 구조인 데다 휘발유 가격탄력도는 전국 대비 1.95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국제유가가 10% 상승하면 향후 2년간 서울의 경제성장이 0.38% 하락하고 소비 1.52% 둔화, 물가 0.38% 상승, 고용 0.46% 침체라느 우울한 전망이 나왔다.

 

한국의 심장부가 어떻게 초고유가 시대를 견뎌낼지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다.

 

6일 박희석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이 공개한 '신고유가가 서울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유가 상승 여파는 생산 1개월, 소비 2개월, 물가 4개월의 시차를 두고 서울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원유를 중간재로 사용하는 모든 상품가격을 상승시켜 이들 제품을 최종재로 사용하는 관련 제품의 가격 상승에 연쇄적 영향을 끼친다. 이 시나리오대로라면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낸 유가상승 여파는 이달부터 본격화돼 서울 경제를 빠져나오기 힘든 늪으로 내몰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현재 전국 25개 산업부문의 석유류 제품 소비는 연간 7억9494만5000배럴. 이 가운데 서울이 차지하는 비중은 6.5%에 이른다.

 

부문별로는 도로가 55.0%로 가장 높았고 항공 11.9%, 상업 7.4%, 화학제품업 7.2%, 건설업 5.0% 순으로 나타났다. 석유류 소비의 절반 이상을 수송에 쏟아붓고 있는 셈이다.

 

박 연구위원은 "전국 대비 석유류 소비가 높은 수송부문에 대한 대책과 고유가 장기화에 따른 중장기적 에너지 대책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같은 값으로 국제유가가 올랐는데 서울이 기타 지역보다 높게 휘발유가가 매겨지는 것도 문제다.

 

보고서에 의하면 휘발유에 대한 서울과 전국의 가격탄력도는 각각 0.076.  0.039로, 서울이 전국 평균보다 1.95배나 높았다. 실례로 지난 3월 부산을 포함한 전국 15개 시도 평균 휘발유가가 리터당 1600원을 기록했을 때 서울지역의 휘발유가는 1700원을 상회했다.

 

가뜩이나 수송부문의 소비가 높아 유가상승에 취약한데 가격 인상폭도 상대적으로 높아 가계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박 연구위원은 "고유가 충격을 시험한 결과 유가가 10%만 올라도 서울의 성장은 2년간 0.38%P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최근 유가상승을 감안하면 실제 여파는 예상을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이같은 유가상승 '시한폭탄'에 서울시는 사실상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대기질 개선 차원에서 에너지절약 기여도가 낮은 자전거 이용 확대시책 등을 검토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달 30일 한 환경단체가 초청한 강연을 통해 "자전거 교통 분담률을 현재 1% 미만에서 2012년까지 2.6%로 높이고 내년부터 교체되는 시내버스를 전량 CNG하이브리드 차량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