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사가 북치고 장구치고

2004년부터 생산돼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에서 시험 운행되고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이하 HEV)에 대한 관리가 비효율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HEV 생산관련 R/D는 산업자원부가 맡고, 보급은 환경부가 맡고 있는 이중적인 관리 시스템에, 보급 후 차량 운행 상태 조사나 분석을 전적으로 제작사(현대)에 맡기고 있는 실정이다.

 

한마디로 정부는 돈만 대주고 결과만 지켜보고 있는 입장이고, HEV와 관련해 운행이나 정비 또는 다른 문제점에 대해서는 오직 제작 회사만 알고 있는 셈이다.

 

임광훈 산자부 자동차ㆍ조선팀 사무관은 "산자부는 HEV관련해 R/D만 담당하고 있다"며 "보급이나 사후 관리는 환경부에서 담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김종민 환경부 교통환경기획과 사무관은 "정부로서는 현재 HEV가 기술개발 단계라고 보고 있다"며 "이 단계에서는 보조금 지급으로 도와주는 단계"라고 말했다.

 

정부가 시험운행 단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어야 향후 대량보급을 위한 성능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대해 김사무관은 "정부가 나름대로 여론 수렴도 하고 있지만 현재 단계에서 이래라저래라 개입하기는 힘들다"며 "분명한 것은 결과가 나온 후 잘못이 있다면 그에대한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까지 단일 기관으로 가장 많은 HEV를 보유ㆍ운행하고 있는 경찰청(139대) 장비과 담당자는 "일반고장은 자체 정비소에서 하고 HEV 전용 부품이나 고장은 제작사에서 지정한 정비소를 이용하고 있다"며 "HEV관련 정비나 부품 교체시 비용은 전액 정부가 지원해 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운행 상태나 고장 빈도, 일반차량과 다른 특이사항 등에 대해서는 "그런 문제는 HEV 시범운행이 중앙정부의 정책사항이기에 말할 수 없고, 취재 협조도 곤란하니 이해해 달라"는 말로 입을 닫았다.

 

또 제작사이자 정비까지 책임지고 있어 현재 국내에서 시범운행중인 HEV의 내부 사정을 가장 잘 알고 있는 현대자동차측은 "공개 하기 곤란하다"는 말만 되풀이 했다. 

 

김기섭 현대차 홍보팀 주임은 "HEV와 일반 차량을 비교 평가하기는 어렵다"며 "현재 일반에 공개되지 않은 차량이기에 HEV와 관련한 정보는 공개하기 어렵다"고 잘라 말했다.

 

"사기업의 연구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정부관계자의 말처럼, 배려측면에서 최대한 간섭을 배제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정부 예산이 들어가는 일에 너무 방관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결과가 나온 후 평가를 하겠다는 정부의 태도가 문제를 더 크게 만드는 것은 아닌지 한번 되짚어 볼 때가 된 듯하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가솔린과 전기모터, 디젤과 전기모터 등 두 가지 이상의 구동장치를 동시에 탑재한 차량을 말한다. 작동 원리를 보면, 전기모터로 시동을 건 뒤 일정한 속도가 붙을 때까지 전기모터가 엔진에 보조동력으로 작동한다. 감속할 때는 차량의 운동에너지가 배터리에 저장되고, 신호대기 등으로 정차할 경우 엔진이 정지되면서 연료를 절감한다. 저공해와 연비 향상이 장점으로 꼽힌다. 

 

2005년 시범보급된 1,400cc급 HEV의 판매가격은 3680만원으로 이중 정부가 2800만원을 지원하며, 880만원은 구매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이 부담한다(일반소비자 구입시 정부지원 없음).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